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5 vs r6 | ||
---|---|---|
1 | ||
1 | [[분류:이파리]][[분류: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
|
2 |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
|
3 |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이파리)] |
|
4 | [include(틀:토론 중, 문서명=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
|
5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PoliticalEarthyLonelySupport, 합의사항1=이파리 문서의 종속 문서 생성, 토론주소2=LackadaisicalVoraciousGleamingLizards, 합의사항2=개요 문단 내용 고정)] |
|
6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e8b57><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e8b57> {{{#fff '''토론 합의사항'''}}} || |
|
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
|
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9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or=#000,#eaeaea> |
|
11 | ##@ * [[이파리]] 문서의 종속 문서로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를 생성한다. |
|
12 | ##@ * 해당 문서에 MPOV를 적용하지 않는다. |
|
13 | ##@ * 이파리 문서 및 종속 문서에 논란 또는 사건 사고를 등재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인기글]]이 존재함을 증명하여야 한다. |
|
14 | ##@ * 어떠한 논란 또는 사건 사고에 대하여 반박하기 위해서는 관련한 인터넷 인기글을 첨부하여야 한다. |
|
15 | ##@ * 인터넷 인기글이 있더라도, 근거 없는 루머성 서술은 존치할 수 없다. |
|
16 | ##@ * 개요 문단을 '이세계아이돌의 팬덤인 이파리와 관련된 논란 및 사건 사고에 관한 문서.'로 서술한다. || |
|
17 | ##@}}}}}}}}} || |
|
18 | [include(틀:사건사고)] |
|
19 | [include(틀:이세계아이돌)] |
|
20 | [include(틀: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
|
21 | ||
22 | [목차] |
|
23 | == 개요 == |
|
24 | ## 개요 문단의 내용은 토론 합의로 고정되었습니다. |
|
25 | [[이세계아이돌]]의 팬덤인 [[이파리]]와 관련된 논란 및 사건 사고에 관한 문서. |
|
26 | ||
27 | == 타 방송인 관련 == |
|
28 | === 아이리 칸나 사이버 불링 === |
|
29 | 前 [[스텔라이브]] 소속 버츄얼 유튜버 [[아이리 칸나]]를 과거 [[왁타버스]] 관련 콘텐츠에서 'sana('''사나''')'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 것으로 주장하며, [[왁물원]] · [[유튜브]] · [[에펨코리아]] · [[디시인사이드]] 등지에서 하기한 사유로 공격하고 있다. |
|
30 | ||
31 | ==== 왁물원 등 커뮤니티의 지속적 사이버 불링 ==== |
|
32 | 사나가 [[사이버 불링]]을 당한 사건. 사나는 [[우왁굳]]의 대형 콘텐츠인 [[우왁굳/콘텐츠/비게임/연말 공모전|연말 공모전]]에 [[https://youtu.be/Un6NGjcFwf0|2019년]]과 [[https://youtu.be/SHqUuDMi1RI|2020년]], 두 차례 참여하며 [[왁타버스]] 내에서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중 2021년 여름, 동료 스태프의 권유로 [[이세계아이돌]] 멤버를 선발하는 [[이세계아이돌/오디션|오디션]]에 참가하여[[https://youtu.be/gnZ2ZDWvQxE?t=1393|#]] 예선을 통과해 3차 오디션까지 진출하는 데 성공했으나, 최종 경연을 앞두고 돌연 자진 하차를 결정한다. |
|
33 | ||
34 | ||<width=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youtube(NhwYcw4sjBQ)]||<nopad>[youtube(DPxIbvEUtSs)]|| |
|
3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
|
36 | 하차의 주된 배경은 당시 이세계아이돌의 데뷔곡으로 예정된 [[RE : WIND]]의 제작 과정에 사나가 깊게 관여한 데 있었다. 당초 이세계아이돌의 데뷔곡 예정작이 [[https://youtu.be/4CcQwCHV1TQ|중국 모바일 게임의 OST]]로 갑작스럽게 판매되며 새로운 곡을 긴급히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 닥쳤는데, 이에 우왁굳이 작곡가 영바이브에게 구매한 곡이 RE : WIND였고, '''해당 곡의 제작 과정에 사나가 일부 기여를 했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었던 것이다.[[https://gall.dcinside.com/m/singlebungle1472/1724354|#]][[https://archive.md/Whee4|@]] 여기에 더해, 이 곡의 [[가이드 보컬]]을 사나가 직접 불렀으며,[[https://youtu.be/NhwYcw4sjBQ|#]][* 해당 유튜브 영상의 출처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30610|#]][[https://archive.md/lXouU|@]]] 오디션 당시 개인 방송에서도 이 노래를 불렀으며 사나가 작곡에 참여했다는 언급을 한 사실 역시 확인 가능하다.[[https://youtu.be/DPxIbvEUtSs|#1]][[https://youtu.be/cwVUwPBNBEA|#2]] |
|
37 | ||
38 | 이와 같은 사실이 왁타버스 팬덤 내에 확산되면서 "사나가 이미 스태프들과 알고 지낸 사이라면, 사실 우승자는 이미 내정되어 있던 것이 아니냐"라는 논란이 일었다. 심지어 [[https://gall.dcinside.com/m/wackgood/187832|사나와 작곡가들의 작업용 디스코드]][[https://archive.md/vIaYp|@]]를 구실로 "사나가 데뷔 전부터 내부 친분을 형성해 왔다"며 몰아갔고, 사나는 더 큰 논란을 방지하고자 우왁굳, 영바이브와 협의한 뒤 자진 하차를 결정했다.[[https://youtu.be/7beSzx-byeU|영상]] |
|
39 | ||
40 | 이때 우왁굳의 네이버 팬카페 [[왁물원]]은 "친목을 했으면 떨어져야지", "냄새 많이 나긴 했죠", "양다리 걸치면 큰일 나요~", "모기는 잡아야지~" 등 사나의 하차에 대한 여론이 매우 부정적으로 왜곡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게시물에는 '''현직 카페 스탭 또한''' 이를 제지하지 않고 댓글을 단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왜인'[* '''이'''게 '''왜''' '''인'''기글?의 [[줄임말]]로, 네이버 카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이라는 댓글이 달린 것으로 보아 해당 게시물이 인기글로 선정되었다는 점까지 확인할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78805|#]][[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158|원본글]][* 2021년 8월에 작성된 글이지만 2025년 4월까지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다. [[https://archive.md/mVUZi|@]]] |
|
41 | ||
42 | 심지어, [[왁물원|공식 팬 카페]]에서는 역으로 특정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의 좌표를 찍어 왜곡된 사실을 유포했으며 특정 게시물에서는 '''현직 카페 스탭 또한 사나의 하차 과정을 재밌다'''라고 이야기 하는 모습이 확인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사나에 대한 원색적인 모욕을 담은 내용이 공식 팬 카페에 게시되었다. 즉, 당시 사나에 대한 비난 여론은 카페 스탭이 암묵적으로 동조하고, 인기글에 오를 정도로 '''보편적인 여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191|왁물원에서 사나의 사이버불링 내용을 공유 및 동참하는 모습]]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356|#1]]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862|#2]][*아카이브1 [[https://archive.md/wUPji|왁물원에서 사나의 사이버불링 내용을 공유 및 동참하는 모습]] [[https://archive.md/jKBbM|@1]] [[https://archive.md/i0Ffr|@2]]] |
|
43 | ||
44 | 위 사태 이후 1년이 지나 2022년 8월 말, [[스텔라이브]]의 전신 기업인 [[유메퍼센트]] 소속에서 [[아이리 칸나]]가 정식 데뷔를 하게 된다. 그러자 아이리 칸나와 사나가 동일 인물임을 주장하며 '''"사나는 오디션 참여 당시 이미 [[유메퍼센트|다른 기업세]]에 소속되어 있었으므로 자기는 떨어져도 상관없다는 태도로 장난스럽게 참가했으며, 오디션 중 내부 친목 활동이 발각되자 다른 참가자들을 조롱하며 하차했다"'''라는 선후관계를 왜곡시킨 루머를 퍼뜨리기 시작했다. 콘텐츠 참여 태도가 불량했다는 억지 사유를 붙여 본인들의 사이버 불링을 정당화시키려는 모양새였으나, 이세돌 오디션이 진행되었던 2021년 7월은 '''유메퍼센트가 설립도 되기 전'''이었고, 심지어 아이리 칸나는 1기생도 아닌 2기생이었던 만큼 아무리 빨라도 2기생 확정 시기가 유메퍼센트 창업 이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당시부터 유메퍼센트와 연관이 있었을 확률은 낮다.[* 이세돌 오디션과 아이리 칸나의 데뷔일 사이의 시간 텀은 1년도 넘는다.] 또한 당시 오디션의 주최자인 우왁굳 본인부터가 해당 오디션은 가벼운 성격의 콘텐츠 중 하나였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참가해도 무방하다고 발언하였으며[[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77190|공지 원문]][[https://archive.md/FgBVW|@]], 이후 본인 역시 이세계아이돌이 이 정도로 성공할 줄은 몰랐다고 회상했다. 즉 사나의 하차 과정에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그 와중 자신의 잘못이 아닌 논란에 휩싸였음에도 괜히 일을 키우기 싫다는 생각에 스스로 물러섰다. |
|
45 | ||
46 | 해당 루머는 시간이 지나며 사실관계가 왜곡된 채 정설처럼 퍼지기 시작했고, 이후 23년 1월 유메퍼센트가 사업을 정리하고 [[스텔라이브]]로 이름을 바꿔 한국에서 재데뷔하자 지속적으로 칸나를 사나로 연관 지어 부정적으로 얘기하는 게시물들이 우왁굳의 네이버 팬카페 [[왁물원]]을 비롯한 다양한 인터넷 방송 관련 커뮤니티에 도배되기에 이르렀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65482|당시 에펨코리아 인방게시판 및 버튜버 게시판에 올라온 게시물들.]][[https://archive.md/h6oq3|@]][* 아이리 칸나의 한국 데뷔일은 2023년 1월 7일이며, 위 링크에서 비방성 게시글이 데뷔 다음 날인 1월 8일에 업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데뷔 직후 24시간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부터 사이버 불링을 시작한 것.][*추가 [[http://archive.md/huZLZ|#1]], [[https://archive.md/1kqVk|#2]], [[https://archive.md/4spXp|#3]], [[https://archive.md/QrqBJ|#4]]], [[https://archive.md/WJg6h|CHUGGU 인방게시판]] |
|
47 | ||
48 | 부정적 게시물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
49 | 1.이세돌 오디션에 기업세 소속으로 참여했기에 오디션 태도가 별로였으며, 하차 당시의 태도 또한 문제였다. |
|
50 | 1.유출된 디코에서 친목질을 한 게 문제였다. |
|
51 | 1.오디션 참여 기간 중, 타 스트리머 방송에 참여한 게 문제였다. |
|
52 | 이 내용은 [[왁물원]]에 기재된 게시물의 댓글들과 매우 유사하며, 상기 언급됐듯이 위 주장은 모두 왜곡되었거나 진실이 아니었다. |
|
53 | ||
54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78318|디시 왁마갤에서 퍼뜨린 칸나 관련 루머]][[https://archive.md/Vcq9A|@]] |
|
55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59127|악성 이파리 팬덤의 칸나, 헤비 사이버 불링(현재진행형)]][[https://archive.md/n3SM8|@]] |
|
56 | *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6050626|그 외 칸나 관련 악성 이파리 팬덤의 사이버 불링]][[https://archive.md/HmeiH|@]] |
|
57 | * [[https://archive.md/4Jzri|인스타 본계정으로 칸나를 비방하는 이파리]] |
|
58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63932|리와인드 작곡가 영바이브의 유튜브 커뮤니티 댓글에서 벌어진 사이버 불링들]][[https://archive.md/HBuHb|@]] |
|
59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0134|팬카페인 왁물원에서 2년 동안 방치된 사이버 불링 댓글]][[https://archive.md/OZMM1|@]] |
|
60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191|팬카페인 왁물원에서 디시인사이드서의 사이버불링 내용을 공유하고 동참하는 모습]][[https://archive.md/wUPji|@]] |
|
61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96637|우왁굳 공식 유튜브에서 방치된 사이버불링 댓글들]][[https://archive.md/avP2I|@]] |
|
62 |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97301|헤비의 노래가 올라간 유튜브까지 찾아가 사이버 불링을 하는 댓글]][[https://archive.md/u1yPo|@]] |
|
63 | ||
64 | ==== 악의적 신상 유포 ==== |
|
65 |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칸나신상유포댓글.png|width=100%&allign=center]]|| |
|
66 | ||
67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칸나신상유포답글.png|width=100%]]|| |
|
68 | [[아이리 칸나]]의 중학교 시절 사진으로 여겨지는 이미지가 유출된 이후, 이를 악의적으로 보정한 사진을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한 댓글이 '''왁타버스 공식 유튜브 채널'''[* 舊 왁타버스 제로, 現 우왁굳의 종합게임(게임 풀영상 채널).]에 게시되었다. 해당 댓글은 7일 만에 2,500여 개의 추천 수를 기록했으며, 약 2년간 7,000여 개 이상의 추천 수를 기록하게 된다. |
|
69 | ||
70 | 해당 댓글에는 영상 내용과 무관하게 사진 속 인물에 대한 직간접적 언급과 조롱이 담긴 답글이 수십 개 달렸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 답글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왁타버스 공식 유튜브 채널은 '''2년간''' 해당 댓글을 삭제하지 않고, 수차례의 신고에도 불구하고 이를 방치했다. |
|
71 | ||
72 | 이후 2025년 3월경, [[이세계아이돌]]의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실물 관련 논란]]이 발생하면서 팬덤을 둘러싼 여러 사건들이 주목받았고, 이와 함께 해당 댓글 사건 또한 함께 수면 위로 오르자 2025년 3월 말에서야 삭제되었다.[[https://archive.md/OA37W|@]] |
|
73 | ||
74 | ==== 부친 신상 유포 및 패드립, 고인드립 ==== |
|
75 | ||<tablewidth=300px><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부친고인모독.jpg|width=100%]]|| |
|
76 | || {{{-1 [[아이리 칸나]]와 그 팬덤을 멸칭으로 일컫는 이파리[* 해당 고정닉의 당사자는 [[왁물원]]에서 인정한 악성 이파리이다. [[#s-2.1.9|본 문서의 항목 2.1.9]] 참조]}}} || |
|
77 |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에서 참가 중이던 사나는 SNS 계정을 통해 부친상 소식을 전한 바 있다. 그러나 사나로 추정되는 [[아이리 칸나]]가 데뷔한 이후 방송에서 아버지와 통화하는 장면이 공개되자, 악성 이파리들은 '''해당 소식이 거짓이었고 멀쩡히 살아있는 아버지를 죽었다고''' 주장하며, 칸나와 그 팬덤에게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의미인 '''애살견'''이라는 인격 말살 수준의 끔찍한 멸칭을 붙인 뒤, [[스트리머 갤러리]]에서 수 개월간 지속적인 조롱과 공격을 가하였다. [*링크1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30951|#1]] [[https://gall.dcinside.com/mini/aestherfree/47185|#2]]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31579|#3]]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701567|#4]]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138279|#5]]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137211|#6]]][*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3063|멸칭을 사용한 유저의 리캡이 올라간 인터넷 인기글.]][[https://archive.md/OyVQK|@]]][*아카이브2 [[https://archive.md/gxO3d|@1]] [[http://archive.md/cxqha|@2]] [[https://archive.md/ndcGI|@3]] [[https://archive.md/yqrCb|@4]] [[https://archive.md/vau8a|@5]] [[https://archive.md/FEiDr|@6]]] |
|
78 | ||
79 | 여기에 그치지 않고 [[스트리머 갤러리]]의 한 유저는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최사나를 검색, 최사나의 어머니로 추정되는 인스타그램 계정을 알아내 [[스트리머 갤러리]]에 계정을 유포하였다. 또한 '그럼 이제 우리의 목표인 아버지는 정말 돌아가셨을까?', '트위터 올렸던 21년 8월 이후에도 잘 살아 계신 걸 알 수 있다.', '물론 최근에도 건강하신 것 같다...'라며 '''\'멀쩡히 살아있는 아버지를 죽었다고 했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듯 아이리 칸나를 조롱했다. 원본 글은 지금까지도 지워지지 않았다.[*링크2 [[https://m.dcinside.com/board/stream_new1/16050626|#1]]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75028|#2]]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67158|#3]] [[https://gall.dcinside.com/m/singlebungle1472/1724706|#4]]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51798|#5]]][*아카이브3 [[http://archive.md/McZLX|@1]] [[https://archive.md/4M4lx|@2]] [[https://archive.md/GrLvY|@3]] [[https://archive.md/Q59PP|@4]] [[https://archive.md/QIvDR|@5]]] |
|
80 | ||
81 | 하지만 해당 방송에서 통화한 아버지는 칸나의 친부가 아닌, 친부 사망 이후 어머니와 재혼한 새아버지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30726|#]][[https://archive.md/Xpjik|@]] |
|
82 | ||
83 | ==== 비방 채팅으로 인한 이상형 월드컵 중단 ==== |
|
84 | 2023년 2월 22일, [[LOCKDOWN]]의 작곡가 [[고단씨]]는 방송에서 [[아이리 칸나]] 라이브 [[이상형 월드컵|월드컵]]을 진행하던 도중, 아이리 칸나의 보컬 실력에 대해 '''"곡을 써주고 싶다"''', '''"아이리 칸나의 목소리에 보험을 들어야 된다"''' 등의 긍정적인 발언을 남겼다. 그러나 해당 발언이 나온 직후 방송 채팅창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
|
85 | ||
86 | 일부 시청자들이 '''"아이리 칸나의 보컬 실력이 불안정하다"''' 또는 '''"이세돌과 비교하면 노래 실력이 떨어진다"'''는 등의 비방 채팅을 반복적으로 게시했다. 고단씨는 이러한 상황을 제어하기 위해 '1개월 팔로우 채팅 제한'을 설정했으나 아이리 칸나의 노래 실력에 대한 비방성 발언은 계속되었고, 결국 아이리 칸나 라이브 월드컵은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해당 방송에서 문제를 일으킨 사용자들의 팔로우 이력을 확인한 결과, 많은 계정이 '''이세돌을 팔로우하고 있는 이파리'''인 것으로 밝혀졌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525665|#]][[https://archive.is/YFRiJ|@]] |
|
87 | ||
88 | ==== 왁타버스 중간계, 작업계 샤비라비에 의한 비방 ==== |
|
89 | ||<tablewidth=600><width=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샤비라비1.jpg|width=100%]]||<bgcolor=#fff><nopad>[[파일:샤비라비2.jpg|width=100%]]|| |
|
90 | [[왁타버스]]의 [[왁타버스 중간계|중간계]]이자 작업계로 활동하는 샤비라비는 현재 [[SOOP]] 소속 스트리머로, 버튜버로도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https://ch.sooplive.co.kr/shabylavie|#1]] 샤비라비는 [[이파리]]로서 [[아이네]]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https://x.com/Shaby_lavie/status/1798240902005354874|#2]], 왁타버스의 중간계로 여러 합동 방송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작업계 활동으로는 왁타버스 산하 감람스톤의 싱크팀장을 맡아, 이세돌 및 고정 멤버들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자막 관련 작업으로 참여한 바 있다. 또한, 우왁굳의 콘텐츠인 '[[우왁굳/콘텐츠/게임/마인크래프트/눕프로해커|눕프핵 프로젝트]]'에도 여러 차례 참여한 이력이 있다.[[https://wakcraft.vercel.app/architect/shabylavie|#3]][*아카이브4 [[http://archive.md/FAX98|@1]] [[https://archive.md/m7M10|@2]] [[https://archive.md/AnE6F|@3]]] |
|
91 | ||
92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샤비라비트윗.jpg|width=100%]]|| |
|
93 | 2023년 3월 18일, [[아야츠노 유니]]와 [[주르르]]의 합동 방송이 진행되는 당일, 샤비라비는 [[스텔라이브]]와의 합동 방송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담은 트윗을 게시했다. 해당 트윗의 주요 내용은, [[스텔라이브]] 소속의 [[아이리 칸나]]가 과거 이세돌 오디션 과정에서 "사고"를 쳤다는 주장에 기반한 것으로,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높은 내용을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개 플랫폼에 게시한 점'''이 논란이 되었다. 특히 같은 버튜버로 동종 업계 종사하는 인물로서, '''동료 크리에이터에 대한 존중없이 단정적인 부정적 평가를 공개적으로 게시'''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3879|이파리이자 왁타버스 자막 팀 싱크 검수 팀장의 악의적인 날조]],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26450|#]][*아카이브5 [[https://archive.md/9m95k|@]] [[https://archive.md/AniuY|@]]] |
|
94 | ||
95 | 이후 시간이 지나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이 대두되었고, 2025년 3월 31일 감람스톤 측은 X(구 트위터)를 통해 '''"[[RE : WIND|리와인드]]는 우리의 곡으로써 더 의미가 있다", "추억들이 왜곡되는 것을 원치 않음", "권리나 돈, 법보다 열정과 팬심으로 활동하고 싶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하여 샤비라비는 해당 트윗을 자신의 계정을 통해 재게시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주장과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태도'''로 보일 수 있다. 이 같은 행위는 앞서 제기된 내용에 대한 '''성찰이나 정정 없이 논란을 지속시키는 행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1496|#]][[https://archive.md/CtT8l|@]], [[https://archive.md/M1z7F|재게시]][*아카이브6 [[https://archive.md/WVtIJ|감람스톤 입장표명 #1]] [[https://archive.md/zEZIt|#2]] [[https://archive.md/2yMXx|#3]] [[https://archive.md/GC8fS|#4]]] |
|
96 | ||
97 | ==== 아이돌 커버곡 테러 ==== |
|
98 | 2023년 5월 24일 [[아이리 칸나]]는 [[YOASOBI|요아소비]]의 "[[アイドル|아이돌]]" [[https://youtu.be/4_Aknw7fm_8|커버]]를 투고 후, 팬들과 함께 실시간 공개 과정을 방송 중이었다. 이때 [[스트리머 갤러리]]에서 활동 중이던 악성 이파리는 조직적으로 아이리 칸나 유튜브를 테러하기 시작했고, 실시간 채팅으로 아이돌 커버에 대한 비방을 가하는 동시에, 비슷한 시기에 출시한 [[주르르]]의 [[https://youtu.be/z6RSOiYOVuQ|커버곡]]과 비교가 이어졌다. 공개가 끝난 후에도 아이리 칸나에 대한 인신공격과 일방적인 비방이 이어졌고 후에는 유튜브 다중 계정을 통해서 싫어요 테러를 하기 시작했다. 아이리 칸나는 해당 악플들을 직접 지우다가 결국 갑작스럽게 방송을 종료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872847|칸나 유튜브 테러 관련 악성 이파리 팬덤의 사이버 불링]],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5085446|#1]][*아카이브7 [[https://archive.md/TgEfn|유튜브 테러 관련]] [[https://archive.md/lFfyY|@1]]] |
|
99 | ||
100 | ||<tablewidth=600><width=41%><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칸나악플제거.png|width=100%]]||<nopad>[[파일:칸나악플제거2.png|width=100%]]|| |
|
101 | 아이리 칸나는 직접 유튜브를 관리하기에 자신에 대한 악플들을 직접 보고 지우고 있었으나 방송 종료 이후에도 지속해서 달리는 악성 댓글을 보고 지우는 것을 멈추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725|#]][[https://archive.md/LfQHh|@]] |
|
102 | ||
103 | 위 테러의 영향으로 아이리 칸나의 아이돌 커버는 이세계 아이돌 알고리즘과 엮였다는 사실이 스크린샷을 통해 인증되기도 하였고, [[왁물원]]에서 인정한 악성 이파리의 테러 과정 또한 스크린샷에 포착되었다.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2872847|해당 게시물의 2번, 7번 참조]][[https://archive.md/C22pm|@]] |
|
104 | ||
105 | 이후 아이리 칸나는 당일 [[X 스페이스]]를 통해 팬들과 소통하며 '이제 댓글 삭제 안 할 거다. 말은 안 예쁘지만 그만큼 관심을 많이 주시는구나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한다'고 심경을 밝혔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1102858|#]][[https://archive.md/70JKz|@]][* 화면은 녹음한 사람의 화면으로 원본과 관계가 없다.] 덧붙여 요즘 방송 외적으로 힘든 일이 있는데 그때마다 팬들이 먼저 생각난다며, 방종 후에 팬카페의 방송 후기를 보고 울었다는 말도 전했다.[[https://archive.md/ypLzm|@당시 X 스페이스에서 남겼던 발언]] |
|
106 | ||
107 | ==== ADDICT!ON 멜론 차트 조리돌림 ==== |
|
108 | 2023년 5월 26일 [[아이리 칸나]]의 [[ADDICT!ON]]이 발매되며 사건은 시작됐다. 당시에는 [[에펨코리아]] '치지직 게시판'이 아닌 '인터넷방송 게시판'이었고, 이세돌이 [[SOOP]]으로 이적하기 한참 전이었기에 모든 [[트위치]] 사용자들이 같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중 한 유저가 시간 단위로 [[ADDICT!ON]]의 멜론 차트 순위를 꾸준히 중계하기 시작했는데, 당시 규정상으로는 문제가 없었으나 5월 27일에 작성한 글이 불씨를 키우고 만다.[* 관련 규정은 이세돌의 LOCKDOWN 발매 5일차인 6월 26일에 신설됐다.[[https://www.fmkorea.com/5907039825|#]][[https://archive.md/PnNAG|@]]] |
|
109 | ||
110 | >'''제목: 1시간마다 차트 순위 확인하는 거 재밌네 ㅋㅋㅋ'''[*링크3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1218071|#1]][[https://m.fmkorea.com/5807234344|#2]][[https://m.fmkorea.com/5804238770|#3]][[https://m.fmkorea.com/5816435176|#4]]][*아카이브8 [[https://archive.md/QY4TB|@1]] [[https://archive.md/XPN0L|@2]] [[https://archive.md/AhNCN|@3]] [[https://archive.md/Cm7Eb|@4]]] |
|
111 | >이세돌 스밍 때는 내가 팬이라 그런가 오지게 근들갑 떨어서 못보고 왁물원 중계만 봤는데 ㅋㅋㅋ |
|
112 | >칸나 곡은 이거 순위 확인하는 재미가 있네 ㅋㅋ 다들 영차영차 하는게 눈에 보이기도 하고 |
|
113 | ||
114 | [[스텔라이브]] 팬도 아닌데 시간 단위로 차트글을 도배했다는 점과 더불어, 곡 발매 당일 [[아이리 칸나]]의 생방송에 [[ADDICT!ON]]의 성적을 비하하는 익명 [[도네이션]]이 온 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음 날 이런 글이 작성된 것이었기에 유저들의 분노는 더욱 커졌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1177407|#]][[https://archive.md/NlF1t|@]] 유저들이 게시자의 작성글을 확인해 본 결과 [[이파리]]가 맞았으며, 심지어 2023년 5월 7일에 진행됐던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콘텐츠#아이리 칸나 콘서트|악어의 놀이터1 콘서트]] 당시, [[아이리 칸나]]가 가장 많은 노래를 불렀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리 칸나]]만 제외하고 중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2238678|#]][[https://archive.md/QY4TB|@]] 해당 글이 문제가 되자 게시자는 모든 차트 중계글을 삭제한 후 활동을 이어나갔다. |
|
115 | ||
116 | ||<tablewidth=700><width=50.1%><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스크린샷 2025-04-03 135328.png|width=100%]]||<nopad>[[파일:스크린샷 2025-04-03 135142.png|width=100%]]|| |
|
117 | ||
118 | 이 사건의 문제점은 조리돌림의 형태가 당시에 [[스트리머 갤러리]]에서 자행되고 있던 [[아이리 칸나]] [[사이버 불링]]과 완전히 동일했다는 점이다. [[스트리머 갤러리]] 또한 [[ADDICT!ON]] 발매 당시 차트 성적을 1시간 단위로 도배한 전적이 있으며, 이러한 [[사이버 불링]]은 한 달 뒤 [[이세계아이돌]]의 [[LOCKDOWN]]이 발매된 이후로도 수개월간 지속됐다.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2246527|#]][[https://archive.md/10NBo|@]] |
|
119 | ||
120 | 시간이 지나 사건이 재조명되며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s-5|공식 카페 바깥의 팬은 팬이 아니라는 기조]]를 면죄부 삼아 별다른 죄의식 없이 복수의 커뮤니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이버 불링을 일삼고, 같은 계정으로 태연하게 커뮤니티 활동을 이어나가는 모습으로 실명제 커뮤니티 사이트인 [[에펨코리아]]에서의 자정작용마저 불가능함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
|
121 | ||
122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590|#관련 사건을 정리한 개념글]] [[https://archive.md/7Imd4|@]] |
|
123 | ||
124 | ==== 사이버 불링 내로남불 ==== |
|
125 | ||<tablewidth=700><width=48.5%><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사이버불링내로남불1.png|width=100%]]||<nopad>[[파일:사이버불링내로남불2.png|width=100%]]|| |
|
126 | 2025년 3월 26일, [[에펨코리아]] 포텐터짐 게시판에 '굴을 넣어서 먹는 취향인 강호동 라면'이라는 글이 게시됐다.[[https://www.fmkorea.com/8179771231/8180897484|#]][[https://archive.md/YAZrp|@]] 내용상으로만 보면 아무 이상이 없는 평범한 글이나, ''''[[굴(어패류)|굴]]''''이라는 단어 때문에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과 엮는 인원들이 등장해 싸움이 발생했다. |
|
127 | ||
128 | 이에 어떤 유저가 무려 [[팔만대장경|87가지 항목]]을 제시하며 [[이파리]]의 악행을 주장했는데, 이에 대응해 'LilHa'라는 닉네임을 쓰는 이파리인 유저가 지목된 악행들을 반박하는 글을 게시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3582|#]][[https://archive.md/y9m1G|@]] |
|
129 | ||
130 | 주요 골자는 항목들의 상당수가 악의적인 날조이며, 분탕들의 소행이거나 익명 커뮤니티에서 발생한 일이기에 팬덤과는 상관이 없다는 내용이었다. 그중에는 타 스트리머에게 사이버 불링을 한 적이 없다는 내용도 포함됐다.[[https://archive.md/94B6T|@LilHa의 작성글 기록]] LilHa는 '최대한 [[스텔라이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적었다'며 '남 비난하는 걸로 희열 느끼는 분탕종자면서 팬이라고 믿는 케이스는 많지 않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주장했다. |
|
131 | ||
132 | 문제는 이 유저의 댓글 추천 기록이 발견되며 시작됐다. [[아이리 칸나]]의 졸업을 조리돌림하고 외모를 비방하는 댓글의 추천 기록에 LilHa가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https://archive.md/zMTnG|@LilHa가 양해를 구하는 글 및 LilHa의 추천 기록]] |
|
133 | ||
134 | LilHa는 이파리 주도의 사이버 불링은 근거무근의 비난일 뿐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정작 그렇게 팬덤을 변호한 본인부터가 '''사건의 주요 피해자인 아이리 칸나를 근거 없이 비난하고 비방하면서 정작 자신의 행보는 기억도 하지 못한 채 팬덤과 그에 속한 본인에 대한 억지 변호만 연달아하는 [[후안무치]]한 행적'''을 보였다. 당연하게도 글 내역이 밝혀지면서 LilHa의 글에는 수많은 비난의 댓글이 달렸다. 이후 새벽 4시경, 해당 글의 댓글에서 5분 전 만들어진 깡계가 "작성자는 외모를 비방하는 댓글의 추천 기록에 없다"며 변호하는 댓글을 달았으나[* 이게 LilHa 본인인지 아니면 같은 팬덤으로서 억지 쉴드를 펼치려는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결국 어느 쪽이든 '''자신들은 억울하다면서 결국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싸고돌기만 하는 행위'''인지라 이 시점에서 이미 글쓴이의 정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 되었다.] 결국 게시자는 해당 게시글을 삭제했으며, 이 유저는 사건 발생 이후 [[에펨코리아 숲(SOOP) 게시판]]에서 더 이상 글을 작성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3582|#]][[https://archive.md/y9m1G|@]] |
|
135 | ||
136 | ==== 왁물원 내 2차 가해 ==== |
|
137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왁물원칸나2차가해.jpg|width=100%]]|| |
|
138 | [[2025년]] [[3월 31일]] [[우왁굳]]의 네이버 팬카페 [[왁물원]]에 등록된 인기 게시글에서 [[아이리 칸나]]의 [[아이리 칸나#졸업|졸업]]이 언급됐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파리를 공격하는 '''특정 갤러리'''의 패턴 및 목적에 대한 정리글이라며, 그 공격의 이유 중 일부가 아이리 칸나의 졸업(신상공개 기여 관련) 때문이라는 주장이 포함되어 있었다.[[https://archive.md/cqhtr|@]] 하지만 아이리 칸나의 '''졸업 사유는 공식적으로 밝힌 바가 없다.''' [[https://x.com/StelLive_kr/status/1853316274430112131|#1]] [[https://www.fmkorea.com/7653768457|#2]][*아카이브9 [[https://archive.md/vmGA3|@1]] [[https://archive.md/fp2mi|@2]]] |
|
139 | ||
140 | 확인 결과, 위에서 말한 '''특정 갤러리'''에서는 '''위 왁물원의 인기 게시글에서 언급한 신상 공개 관련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게시글'''이 수개월간 주기적으로 게시되어 왔으며, 해당 게시물들은 반복적으로 인기글에 등재된 것으로 알 수 있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919249|1월]]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092737|2월]]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619639|3월]][*아카이브10 [[https://archive.is/8yQrR|1월]] [[https://archive.is/0XuiE|2월]] [[https://archive.is/Qd87m|3월]]] 해당 갤러리는 이세계아이돌을 포함한 불특정 다수에 대한 비방과 성희롱 등이 올라오는 익명 커뮤니티이지만, 아이리 칸나를 악의적으로 비방한 이력이 있는 '''이파리 출신 [[고정닉]] 사용자''' 가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805973|#1]]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806301|#2]][*아카이브11 [[https://archive.md/C6oeD|@1]] [[https://archive.md/GengI|@2]]] |
|
141 | ||
142 | 해당 인기 게시글에서는 [[디시인사이드]]에서 활동하며 아이리 칸나를 모욕하고 비방하거나, 악의적인 합성 등을 지속해 온 특정 고정닉을 명확히 '''[[이파리]]'''라고 지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물의 정체에 대한 의문이나 비판 없이 500여 개의 추천 수와 100여 개의 댓글, 1만 개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https://archive.is/9Xo9x|@]] 오히려 댓글에서는 ''''심연은 심연끼리 싸워야됨 심연이파리들이 잘 싸워주는중임''''이라는 표현을 통해 해당 악성 팬덤을 두둔하고 옹호하는 반응도 존재했다. 해당 게시글의 인용 출처인 X(구 트위터)의 글에서도 해당 고정닉을 '''이파리 출신 분탕 유저'''라고 명확히 지칭하고 있었다.[[https://archive.md/2c51z|@]] |
|
143 | ||
144 | 같은 날, [[2025년]] [[3월 31일]] [[왁물원]]에는 아이리 칸나를 둘러싼 논란과 팬덤 관리에 대한 문제를 다룬 별도의 게시글이 다시 한 번 올라왔다.[[https://archive.is/xGKfs|@]] 그런데 해당 게시물의 댓글들에서는 '''[[왁물원]] 안에서 일어난 다른 사건들이 와전된 날조이며, 사이버 불링 행위 자체가 없었다'''고 주장한다. |
|
145 | ||
146 | 이러한 주장은 SOOP 방송 갤러리와 같은 악성 팬덤 주축의 커뮤니티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사건을 마치 하나의 사건처럼 서술하는 방식으로 사실을 교묘하게 왜곡한 사례\''''에 해당한다. 예시로, 2023년 2월 13일에 이세돌(왁엔터테인먼트) 마이너 갤러리에서 한 작성자는 이 사건을 아이리 칸나의 부모님에 대한 사이버 불링 사건과 동일한 맥락에서 발생한 것처럼 서술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58056|#]][[https://archive.md/Cihmb|@]] 그러나 아이리 칸나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불링은 2023년 3월 3일부터 3월 4일 사이에 발생한 별개의 사건이며, 앞서 언급한 2월 사건과는 시점과 대상 모두가 명백히 다르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29435|#]][[https://archive.md/vo5Gd|@]] |
|
147 | ||
148 | 이 사안은 아이리 칸나를 포함한 '왁물원 내에서 신상정보가 유출된 유저'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댓글들을 방치한 왁물원 관리자들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됐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66649|#]][[https://archive.is/3FmR5|@]] |
|
149 | ||
150 | === 풍월량 방송 중 Apex 레전드 비매너 행위 사건 === |
|
151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 [youtube(GixGWv5mQds, start=191)] || |
|
152 | ||
153 | [[https://www.dogdrip.net/430452535|개드립넷]] [[https://theqoo.net/square/2573613577|더쿠]]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5214180|디시인사이드]]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81/read/58484484|루리웹]] [[https://www.fmkorea.com/4998217126|에펨코리아]][*아카이브12 [[https://archive.md/yHXiX|개드립넷]] [[https://archive.md/lf4ut|더쿠]] [[https://archive.md/KbeqA|디시인사이드]] [[https://archive.md/Dh2KC|루리웹]] [[https://archive.md/Q9mXZ|에펨코리아]]] |
|
154 | ||
155 | 2022년 9월 7일, 당시 [[트위치]] 스트리머였던 [[풍월량]]이 [[Apex 레전드]]를 플레이하던 도중 닉네임이 'GOSEGU_0_0'라는 유저에 의해 사망하였다. 마무리 기술인 피니셔를 사용해 끝냈어야 하지만 해당 유저는 사용과 취소를 1분 이상 빠르게 반복하여 [[광과민성 증후군|지속적으로 깜빡이는 빨간색 화면]]과 반복된 인게임 음성으로 풍월량과 수많은 시청자들에게 눈과 귀 테러를 하는 [[티배깅]]을 하였다. |
|
156 | ||
157 | 이에 분노한 시청자들은 아이디를 추적한 결과 'DaveK'이라는 국내 에이펙스 레전드 유튜버 영상의 설명란에서 닉네임이 '재펑'이라는 사람이 사용 중인 것이 밝혀졌고, 지인과 함께 부계정으로 플레이한 것이 드러났다. 다른 계정은 'Must****'이다. |
|
158 | ||
159 | 아이디가 영어로 [[고세구]]였기에 채팅창에서 언급되기 시작하자 풍월량은 [[지능형 안티]]일 수 있으니 자제해달라고 하였지만 [[왁물원]]에 프로필 사진으로 [[주르르]]를 쓰고 있는 '재펑이'라는 유저가 존재했고, 이 유저가 쓴 글 중 위의 동일한 아이디인 'Must****'를 쓴 에이펙스 레전드 글이 발견되어 [[이파리]]인 게 밝혀졌다. |
|
160 | ||
161 | DaveK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항의하는 댓글이 달리기 시작하자 다시보기를 통해 풍월량인 것을 파악하였고, 오해를 풀고 싶었지만 팔로우를 하지 않아 후원할 방법이 없어 비트를 후원하며 시간을 내어줄 수 있는지 물은 뒤 따로 만나 지인과 함께 사과하였다며 유튜브 커뮤니티에 사과글을 작성했다.[[https://www.youtube.com/channel/UCHkdmmrIrRU-h0XnAfHjfUg/community?lb=Ugkxj0uPPcdSqEKVbQnu8qPu7Hmw5XUgdyH4|#]][[https://archive.md/nP8j2|@]] |
|
162 | ||
163 | === 왁물원 내 철구, 봉준 등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들에 대한 비방 === |
|
164 | ||<tablewidth=600><width=71.66%><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이적후철구언급.png|width=100%]]||<nopad>[[파일:철구숨기기.png|width=100%]]|| |
|
165 | ||
166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왁물원철구비하.png|width=100%]]|| |
|
167 | [[왁물원]]은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팬카페'''이며, 이에 따라 다른 방송인에 대한 비방 금지를 공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우왁굳이 [[트위치]]에서 방송하던 시기에는, [[SOOP|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들에 대한 논란들을 게시하며 비난과 수위 높은 욕설을 담은 게시글과 댓글이 올라오는 경우가 잦았고, 현재까지도 제재 없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논란이 된 바 있다. [*링크4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01941|#1]]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268351|#2]] [[https://gall.dcinside.com/mini/supbangsong/1294978|#3]] [[https://gall.dcinside.com/mini/soopinternet/494127|#4]]][*아카이브13 [[https://archive.is/gOtwq|@1]] [[https://archive.is/Xjr0R|@2]] [[https://archive.is/t4lA5|@3]] [[https://archive.md/A5FUG|@4]]] |
|
168 | ||
169 | 이러한 상황에서 2023년 12월 6일,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이 발생하면서 우왁굳은 플랫폼 이적을 결정했는데, 목적지는 트위치와 유사한 [[치지직]]이 아닌 아프리카TV(현재 SOOP)이었다. 앞서 설명한 상황에서 아프리카TV의 '이미지'에 반감이 있던 이파리들은 왁물원 내에서 타 방송인에 대한 비방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세계아이돌|이세돌]]하고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가 같은 화면에 있을 거라는 게 끔찍해요''''라는 내용의 게시글 댓글에서는 왁물원 최고 등급인 '느그자' 회원 다수가 그 어떤 이유 설명도 없이 ''''차단기능으로 숨기기하겠다''''라고 '''팬카페'''에서 발언하고 있으며, 이를 제지하거나 비판하는 언급은 없고 현재까지도 삭제되지 않은 상태이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4376713|#]][[https://archive.is/lI3vx|@]] |
|
170 | ||
171 | 이에 반해,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 및 [[김봉준|봉준]] 등 비방당한 스트리머들은 이적 초기부터 현재까지도 이세계아이돌의 영상에 칭찬 및 환호하며, 채팅창에서도 매너채팅을 유도하는 등, 이세계아이돌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였다.[[https://vod.sooplive.co.kr/player/146472033|#]][*링크5 [[https://www.fmkorea.com/7866664562|#1]] [[https://www.fmkorea.com/8194572455|#2]] [[https://www.fmkorea.com/7278575954|#3]]][*아카이브14 [[https://archive.md/IchRR|@1]] [[https://archive.md/7PChd|@2]] [[https://archive.md/xEXOf|@3]]] |
|
172 | ||
173 | 특히 철구의 경우, 기존의 이미지와 다르게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으로 아프리카TV에 버츄얼 유튜버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부터 줄곧 버츄얼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https://youtu.be/mu2ksVbIEIc&t=3980|#]] |
|
174 | ||
175 |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아프리카TV 이적 이후, 비방의 대상이었던 방송인들의 우호적인 모습을 직접 보며, 왁물원 내 이들에 대한 반응은 대체로 우호적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유저는, 이세계아이돌과 타 방송인이 서로 칭찬과 감사를 주고받는 게시글에서도, 게시글 내용과 전혀 상관없이 타 방송인의 과오를 조롱하는 밈을 댓글로 달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internet/528646|#]][[https://archive.md/AbRZi|@]] |
|
176 | ||
177 | === 랄로 일베몰이 및 허위사실 유포 사건 === |
|
178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랄로일베몰이.jpg|width=100%]]|| |
|
179 | [[https://gall.dcinside.com/m/chzzk/1573086|디시인사이드]] [[https://m.fmkorea.com/6833208319|에펨코리아]][*아카이브15 [[https://archive.md/aqRJA|디시인사이드]] [[https://archive.md/DOHG7|에펨코리아]]] |
|
180 | ||
181 | 2024년 3월, [[에펨코리아 숲(SOOP) 게시판|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에서 활동하던 [[이파리]]가 [[트위치]] 시절에 대해 이야기하던 중 [[랄로]]가 [[일베충]]이고, [[일베저장소]] 영상 후원을 보면서 조리돌림을 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트위치 시절 랄로의 영상 후원 단가는 초당 1만 원이라는 엄청난 고액에다가, 조금이라도 심기에 맞지 않으면 금방 스킵해 버렸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 자체가 거의 없었다. |
|
182 | ||
183 | 해당 소식을 접한 랄로는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사비를 써서라도 결대로 처리하겠다며 강경 대응을 선언했다.[[https://www.fmkorea.com/6832762815|#]][[https://archive.md/ASIIS|@]] 고소 사실이 알려지자, 해당 유저는 랄로의 팬카페 등 랄로와 직접 소통 가능한 공간이 아닌 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에 사과문을 남겼다가 자삭 후 활동을 중단했다. |
|
184 | ||
185 | === 이세계아이돌(왁타버스) 갤러리 관리자의 텐코 시부키 비하 사건 === |
|
186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시부키비하.png|width=100%]]|| |
|
187 | ||
188 | 2024년 7월 5일, [[이세계아이돌]]([[왁타버스]]) 갤러리의 [[파딱|관리자]] 중 한 명이 [[스텔라이브]] 소속 [[텐코 시부키]]를 비하하는 글을 게시했다. ''''시부키의 미래는 [[성대결절]]에 걸려 장기휴방을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시청자가 감소하고 [[육수(속어)|육수]]방이 될 것이다''''라는 내용이었다.[* 텐코 시부키의 데뷔일이 2024년 5월 18일인 것을 감안하면 데뷔 2개월도 채 되지 않은 신인에게 뜬금없이 비하를 한 것이다.] 비방의 이유는 직접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으며, 해당 스트리머는 데뷔 이후 지금까지 이세계아이돌과 직접적으로 엮인 적이 없다. |
|
189 | ||
190 | 이 글은 몇 개월 후 [[버츄얼 스나 미니 갤러리]]에서 화제가 되어 개념글에 등록되었으며[[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708127|#1]], 최소 2025년 3월 28일까지는 해당 원본글이 삭제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4452|#2]] 이로 인해 논란이 일자 현재는 원본글이 삭제됐다.[*아카이브16 [[https://archive.md/fIXZg|@1]] [[http://archive.md/aWRNM|@2]]] |
|
191 | ||
192 | === 멋사 비하 및 인신공격 === |
|
193 |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멋사사이버불링이파리.png|width=100%]]|| |
|
194 | || {{{-1 멋사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한 이파리}}}[* 해당 이파리는 이세계아이돌 방송을 총합 '''3,000시간 이상''' 시청한 리캡을 인증하며 진성 이파리임을 스스로 밝혔다.[[https://gall.dcinside.com/mini/waktaverses/58314|#]][[https://archive.md/zLeRS|@]]] || |
|
195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7219|나도 그 팬덤 타스 싸이버불링 패악질 증거 놓고가도 됨?]] [[https://archive.md/pdUqp|@]] |
|
196 | ||
197 | [[2024년]] [[8월 4일]], [[비챤]]이 주최한 본인의 콘서트 '역광'에 대한 리액션 이벤트[[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7411033|이벤트]]에 [[멋사]]가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7440750|글]]을 올리며 참가하였는데, 이를 본 디시인사이드 왁타버스 미니 갤러리의 유저들이 욕설과 함께 비난을 쏟아냈다.[*아카이브17 [[https://archive.md/9YM2P|이벤트]] [[https://archive.md/XC6be|글]]] |
|
198 | ||
199 | 해당 비난의 피해자인 멋사 본인은 과거부터 스스로 비챤의 팬임을 공언했던 [[이파리#s-9| 이파리/유명인사]]중 한 명이었고, 비챤의 '취기를 빌려' 커버곡 영상에서도 [[https://youtu.be/NVns4yRoTlU&lc=Ugw5UK5sXjdP7Wdr3GJ4AaABAg|댓글]]을 남기고 비챤측에서 이를 고정하거나 [[악어의 놀이터 2]]에서 같은 길드 소속으로 만나 이세돌 멤버들을 도와준다거나 [[https://www.fmkorea.com/7075109596|악놀2 콘서트에서도 열성적으로 응원하는 등]][[https://archive.md/NTeCi|@]] 지속적으로 교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멋사는 비챤의 팬임과 동시에 같은 스트리머이기도 했으나 '''단순히 이벤트에 참가해 한정판 굿즈를 선물받았다는 이유 하나'''로 그동안의 행적은 깡그리 무시당한 채 원색적인 비난에 노출된 것이다.[* 링크를 참조하면 이들이 멋사를 비난했던 이유는 '''멋사가 합방에서 비챤(및 타 이세돌 멤버들)과 아는 척을 했다''', '''한정판 굿즈를 받았다.''', '''커버곡을 포함한 일부 유튜브에 댓글을 달고 그게 고정댓글이 되었다''' 등과 같은 전혀 문제될 일이 없는 일들이었다. 정작 그들의 이런 행태가 타 팬덤에 있어 이파리의 평판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일절 생각하지 않았다 볼 수 있다.] |
|
200 | ||
201 | === 감스트 비하 및 인신공격 === |
|
202 | ||<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00bca1,#00bca1><nopad>[[파일:감스트비하댓글.jpg|width=100%]]|| |
|
203 | 2024년 8월 5일부터 [[FC24 감월드컵]]을 진행한 [[감스트]]는 8월 20일부터 진행한 [[감스트/콘텐츠#2.26|마병대 콘텐츠]]에서 위문 공연에 이세계아이돌을 섭외하겠다는 발언을 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27027|#1]] 해당 발언에 숲 방송 갤러리에서는 감스트를 향한 비난 및 인신공격을 하였다. [[https://gall.dcinside.com/mini/supbangsong/3699045|#2]][*아카이브18 [[https://archive.md/bfYPN|@1]] [[https://archive.md/MG4Ue|@2]]] |
|
204 | ||
205 | === 강만식 비하 및 인신공격 === |
|
206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강만식비하1.png|width=100%]]|| |
|
207 | [[SOOP]]의 방송인인 강만식은 2025년 2월 21일, '노래만 듣고 버츄얼 방송인 맞추기' 콘텐츠를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이세계아이돌]]의 [[주르르]]가 부른 노래가 나올 때 대상이 누구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로 '노래를 잘 못 부르시는 분이야 일단'이라고 발언했고,[[https://www.fmkorea.com/8053423743|#1]][* [[https://vod.sooplive.co.kr/player/151927987/catch|클립 링크]] ] 이 방송은 이세돌 관련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됐다. 왁타버스 미니 갤러리는 ''''예의 박은 새끼 ㅈ같네''''라는 제목으로 강만식을 언급했으며 이용자 및 갤러리 관리자 또한 이를 저지하지 않고 [[사이버 불링]]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원본글은 삭제된 상태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4145|#2]][*아카이브19 [[https://archive.md/V5I6b|@1]] [[https://archive.md/3bgnQ|@2]]] |
|
208 | ||
209 | 2025년 3월 27일에 [[릴파]]는 [[왁물원]]을 탐방하며 2시간 20분의 짧은 방송을 진행했는데, 한 시청자가 강만식이 이세돌의 노래를 듣고 반응하는 게시글을 올렸다. [[릴파]]는 음향 세팅에 감탄하며 자발적으로 약 2시간 동안 관련 영상을 시청했고 이후 10분 간의 짧은 대화 끝에 방송을 종료했다.[[https://vod.sooplive.co.kr/player/155428607|#해당 날짜의 릴파 VOD]] |
|
210 | ||
211 |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사용자들은 이러한 모습을 보고 강만식은 자신의 방송에서 노래를 들었을 뿐인데도 '''강만식 때문에 소중한 짧방 시간이 날아갔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로 강만식을 비난했다. 당시 강만식을 욕하던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의 개념글의 바로 아래에는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 [[사이버 불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PDF 수집글이 게시되어 있어 [[내로남불]]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2025년 4월 3일 기준 강만식을 욕하던 게시글은 개념글이 해제된 상태다.[[https://archive.md/yflbI|@]] |
|
212 | ||
213 | === 왁물원 내 아이리제 비하 === |
|
214 | ||<tablewidth=500px><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동족상잔의민모습.png|width=100%]]|| |
|
215 | || {{{-1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리제를 비방하는 왁물원의 한 이파리}}}[* 해당 회원은 4등급인 침팬치로, 꽤나 높은 등급에 속한다.] || |
|
216 |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7459|느그자[* 왁물원 내 등급 중 최고 등급에 속한다] : (아이리제) 고척돔 쳐 나오기만 해봐라 진짜]] [[https://archive.md/p8sU9|@]] |
|
217 | ||
218 |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이 확산되자 [[왁물원]] 회원들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 메일을 보내 사이버 불링 피해 해결을 요청했지만, 보낸 메일은 읽지 않음 표시로 되어있고 같은 패러블 소속의 [[IRISÉ|아이리제]] 관련 메일만 읽음 표시로 되어있다는 이유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IRISÉ|아이리제]]에 대한 비난 및 비방이 이어졌던 사건이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45239|왁물원 해당 게시글]] [[https://archive.md/7G3f7|@]] |
|
219 | ||
220 | [[이파리]] 팬덤은 이전부터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날조나 비방 목적의 게시글을 패러블에게 메일로 제보해왔으나 패러블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물론 메일을 읽지조차 않은 것으로 추정되어 이미 많은 불만이 축적되어 있었다. [[https://www.fmkorea.com/8165646336|#1]][[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4074771|#2]][*아카이브20 [[https://archive.md/z7jLv|@1]] [[https://archive.is/EbftK|@2]]] 그러나 이러한 불만을 패러블의 조치와 무관한 아이리제에게도 표출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행동이다. |
|
221 | ||
222 | 이후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2|우왁굳의 2차 입장 표명]]을 통해 패러블 측은 대응을 원했으나, 우왁굳 본인과 이세계아이돌 측에서 대응을 참작 중이었으며 메일이 읽지 않음 표시인 것은 서버에 관련 메일들을 따로 저장했기 때문에 확인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패러블을 향한 무분별한 의혹 제기와 아이리제를 향한 근거없는 비방이 발생하게 되었다. |
|
223 | ||
224 | === 감자가비를 향한 사이버 불링 === |
|
225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감자가비사이버불링.jpg|width=100%]]|| |
|
22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
|
227 | 2025년 3월 26일,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s-2.2|RE : WIND 작사가 저작권 논란]]이 불거지자 감자가비는 해당 사건의 핵심적인 피해자로 거론됐고 이 소식을 접한 감자가비는 3월 30일 방송에서 자신의 심경을 토로했다. 해당 논란으로 인하여 릴파의 콘텐츠 '블루롤'에 하차한다는 소식을 전하자 [[에펨코리아 숲(SOOP) 게시판|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에서 감자가비의 리와인드 떡밥 정리라는 글이 인기글로 등재됐다. |
|
228 | ||
229 | {{{#!folding 원문 [ 펼치기 · 접기 ] |
|
230 | || |
|
231 | 1. 감자가비는 본인이 우왁굳에게 헌정한 가사이고, 많은 팬치들, 우왁굳과 함께 만든 가사이기에 본인이 따로 들어가지 않는 게 맞다 이야기함. |
|
232 | 1. 그럼에도 감자가비를 협박하여 가사를 갈취했다며 날조가 돌기 시작함. |
|
233 | 1. 이후 감자가비는 블루롤에서 리와인드 관련 잡음이 생길까 블루롤 하차 선언. |
|
234 | ||
235 | 리와인드 이후에도 감자가비는 꾸준히 왁타에 비벼왔음 (쇠구컵 준우승 등등..) |
|
236 | 날조 말대로 '갈취'가 일어났고 부당한 일이 있었다면 이런 행보는 없었을 것임. |
|
237 | ||
238 | 애초에 리와인드 작사를 무기삼을거면 한참 옛날에 하지 왜 이제와서 건드리는건지 모르겠음. |
|
239 | 버축대 때 싸워서 핫게 간 이후에 공황장애 도지고 커뮤 무섭다고 대형 컨텐츠에는 비비지도 않고 있다가 이제서야 좀 신청하는건데 왜 무기로 써서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거임? |
|
240 | || |
|
241 | || [[https://archive.md/esM0j|아카이브]] ||}}} |
|
242 | 마치 감자가비의 입장을 정리하고 작사 [[저작권]]을 포기한 것처럼 작성되었지만 이는 날조된 사실이다. 감자가비는 블루롤의 하차 당시 하차 이유로 리와인드 논란 관련 노이즈가 생길 것만 언급했다. 감자가비는 3월 30일 방송 마지막 무렵, "'''나는 내가 그동안 [[저작인격권|권리]]가 없다고 생각을 했다'''", "'''리와인드 작사 관련해가지고 마음이 싱숭생숭하다'''" 라며 리와인드 저작권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말했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55778593|SOOP 클립]],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43202|#]][[http://archive.md/oITBR|@]] 이후 위 펨코 인기글은 삭제됐다. |
|
243 | ||<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ordercolor=#000,#fff> '''감자가비의 당시 발언 원문''' || |
|
244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245 | 힘들면 쉬삼 |
|
246 | 근데 좀 힘들기는 해요. |
|
247 | 요즘에 뭔가 마음이 좀 힘들어요. |
|
248 | 아무래도 자꾸 생각이 나가지고 |
|
249 | 마음이 좀 그래 싱숭생숭해 |
|
250 | ||
251 | 리와인드 작사 관련해가지고 |
|
252 | 마음이 좀 싱숭생숭해요 |
|
253 | 하지만 말을 하진 않을게요 |
|
254 | 어떻게 되냐고요? [* "기대되냐고요?"로 자동 자막 생성되었지만, 원문을 들어보면 어떻게 되는 거냐는 채팅창의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이다.] |
|
255 | 네, 제가 한번... |
|
256 | ||
257 | 나 무슨 일이냐고요? |
|
258 | 몰라, 내가 말 안 할래. |
|
259 | 근데 해도 내가 메일로 먼저 연락을 해서 그렇게 해야 될 것 같기는 하다. |
|
260 | 아니 근데 좀 마음이 되게 싱숭생숭한 게 나는 내가 그동안 권리가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
|
261 | 네, 그랬는데 갑자기 그게 법적으로 된다고 그러니까... |
|
262 | ||
263 | 충격도 좀 있고, 저도 좀 잘 모르겠어요. |
|
264 | 몰라, 그래서 요즘에 좀 많이 싱숭생숭하고 그래요. |
|
265 | 뭐 아무튼 제가 알아서 잘 해볼게요. |
|
266 | 너무 배고파서 나는 밥 먹으러 가야 돼. |
|
267 | 밥 먹으러 가지 마? 아니 근데 나는 그것도 잘 모르겠어요. |
|
268 | ||
269 | 그게 진짜 될 수 있는 건가? 라는 마음이 들어요. |
|
270 | 왜냐면 내가 관련 법을 아는 건 아니니까. |
|
271 | 진짠가? |
|
272 | 진짜 들어요. |
|
273 | 뭐 아무튼 이제 밥 먹으러 갈게. |
|
274 | ||
275 | 그러면은 월요일에.}}} || |
|
276 | 이후 최근 방송 다시보기의 댓글을 막았으며, 본인의 공식 카페에 무서워서 휴방한다는 공지와 함께 스트레스 및 건강사유를 들어 연속 휴방을 하기에 이른다. [*링크6 [[https://cafe.naver.com/gamjagabee/8823|#1]] [[https://cafe.naver.com/gamjagabee/8863|#2]] [[https://m.cafe.naver.com/gamjagabee/8890|#3]]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54149|#4]]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83461|#5]]][*아카이브21 [[http://archive.md/hou3U|@1]] [[https://archive.md/u9cQc|@2]] [[https://archive.md/SctpZ|@3]] [[http://archive.md/e0rYa|@4]] [[https://archive.md/TFCs8|@5]]] |
|
277 | ||
278 | 다음날인 3월 31일, [[우왁굳]]은 해명방송을 진행하며 변호사와 상담 후 희망자는 작사가 등재와 지분을 분배해 주겠다는 취지를 전했다. 방송 진행 중 수많은 시청자들이 채팅과 도네이션으로 이번 저작권 논란이 생긴 것에 대하여 거짓된 근거를 가지고 날조한다는 주장을 했다.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57226|#]][[https://archive.md/EekYD|@]] |
|
279 | ||
280 | {{{#!wiki style="width: 100%; max-width: 700px;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ccc dashed; border-left: 5px solid #00bca1,#00bca1" |
|
281 |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열정 페이|부아내비]][* 부리는 게 아니라 내가 비빈거다'라는 뜻의 왁타버스 내 밈]도 모르는 짭치들은 나가라.[br]작사를 다같이 했으니 팀장명이 올라가는 것이 맞다.[* 감자가비의 작사가 원곡에서 활용된 지분은 높은 편이고, ''''차원을 넘어''''라는 문구가 있다.[[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24926|#]][[https://archive.md/Dg86i|@]]] [br]이제와서 얘기하는 거 보면 메일단은 [[속물]]이다. |
|
282 | ---- |
|
283 | 당시 우왁굳 생방송에 올라온 후원 채팅||}}} |
|
284 | ||
285 | 이후 [[왁타버스]] 공식 자막 팀 감람스톤에서 입장을 표명했는데, 내용은 현 논란에 대해 "'''권리나 돈, 법으로 물들어 냉정해지는 것보다, 열정과 팬심으로 뜨겁게 활동하고 싶습니다.'''" 라며 저작권 침해 피해자인 감자가비를 포함한 모든 등재되지 않은 [[저작인격권]]자의 권리가 무시되고 있음에도 되레 압박을 가하는 기조를 보였다. [[#s-2.1.5|2.1.5 마지막 자료 참조.]] |
|
286 | ||
287 | 한편 [[이파리]]의 감자가비에 대한 여론은 겉으로 보기엔 우호적으로 보이나, 감자가비의 곡에 대한 권리를 찾기 바란다는 응원이나 행동에 대해선 가면 분탕에게 이용당하는 것이고, 모두가 함께 만든 곡이라며 열등감이라고 애써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링크7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056738|#1]]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067392|#2]]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160|#3]]][*아카이브22 [[https://archive.md/5AnQY|@1]] [[https://archive.md/dAXuu|@2]] [[https://archive.md/ia2V9|@3]]] |
|
288 | ||
289 | 이와는 별개로, 2024년 10월 24일 이파리가 매니저인 숲 방송 갤러리에서 생계 곤란을 이유로 방송 중단을 언급하였던 감자가비에게 한녀, 방접쇼 등 폭언을 가하며 조롱하였던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리와인드 저작권 독점 사태가 불거진 2025년 3월 30일 해당 갤러리에서 글이 삭제됐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50294|#]][[https://archive.md/DeRmh|@]] |
|
290 | ||
291 | === 황인욱 작사 관련 허위사실 유포 === |
|
292 | ||<tablewidth=600><width=50.34%><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채팅1.png|width=100%]]||<nopad>[[파일:황인욱작사채팅.png|width=100%]]|| |
|
293 | 2025년 3월 31일 [[우왁굳]]의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리와인드 작사 저작권]] 관련 해명 방송 중, 채팅창에서 돌연 [[황인욱]]의 작사 저작권에 대해 사실을 왜곡하는 채팅이 도배되어 논란이 된 사건이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55777167|23:26부터 해당 장면]],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osopbj/2155271|#]][[https://archive.md/mm5al|@]]. |
|
294 | ||
295 | 우왁굳은 2021년 리와인드를 작사할 때 시청자의 가사를 골라 작사하는 콘텐츠를 진행하였으나, 우왁굳이 작사가에 단독 기재된 것이 논란이 되자 이에 대한 해명 방송을 진행 중이었다. 우왁굳은 "리와인드 작사 콘텐츠 중에 단독 기재에 대한 사실을 충분히 이야기했으며, 당시 작사에 참여한 다수의 시청자를 모두 이름을 올리는 것이 맞는지 확인해 보겠다"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었다. |
|
296 | ||
297 | 그러다 우왁굳이 "이런 사례가 없다보니까, 이례적인 경우라서 되게 애매하지 않나…."하고 말하는 중 채팅창에서 '''"황인욱 님.", "취하고 싶다.", "황인욱 님도 이렇게 했는데 문제 없었대."'''라는 내용의 채팅들이 도배되기 시작했다. 이에 우왁굳은 "이런 사례가 있다고?"라고 반응하며 말을 멈추었지만, 잠시 뒤 넘어가게 되었다. |
|
298 | ||
299 | 그러나, [[황인욱]]은 [[전태익]]과 함께 '취하고 싶다'를 작사·작곡한 뒤, 시청자에게 생방송에서 공개하며 의견을 물어보았을 뿐, 시청자가 작사에 직접 참여하는 형식이 아니었으며, 이는 황인욱 유튜브 채널에 영상으로 그대로 남아있다.[[https://youtu.be/ub3F3IkILhE|#]] |
|
300 | ||
301 | ||<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00bca1,#00bca1><nopad>[[파일:황인욱날조1.jpg|width=100%]]|| |
|
302 | ||
303 | ||<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00bca1,#00bca1><nopad>[[파일:황인욱날조2.png|width=100%]]|| |
|
304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도 리와인드 작사에 참여했다고 채팅하던 장기 구독자를 포함한 다수의 시청자들은 돌연 황인욱에 대한 사실 왜곡 채팅을 도배했다. 이들 중에는 이세돌 클립을 수집하는 이파리임이 구체적으로 확인된 경우도 있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osopbj/2155215|#]][[https://archive.md/eLI08|@]] 당시에는 우왁굳과 이세돌이 깊이 연관된 리와인드의 저작권 문제를 다루는 중요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사실 확인 없이 왜곡된 채팅이 도배되며 당사자인 우왁굳에게까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뻔했다. 또한, 이 날은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이세돌 실물 관련 논란]]이 확산된지 10일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
|
305 | ||
306 | 한편, 우왁굳의 리와인드 작사 관련 해명방송 이전에, 한 유저가 [[숲 스트리밍 미니 갤러리]]에 ''''황인욱의 작사 과정과 리와인드의 사례가 동일한데 문제가 되지 않았고, 이것이 리와인드의 작사 저작권 방어 논리가 될 수 있다''''라고 주장한 글이 많은 유저의 추천을 받아 인기글이 되었는데, 우왁굳의 해명방송 이후, 해당 글의 작성자가 단순히 과거의 다른 글을 보고 쓴 글이라고 해명하는 글이 [[숲 인방 미니 갤러리]]에 게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osopbj/2156591|#]][[https://archive.md/oJCro|@]] |
|
307 | ||
308 | 사건이 발생했을 시기에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황인욱이지만 [[찰리 푸스]], [[세종(조선)|세종대왕]] 등의 인물에 대해서도 근거 없는 날조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황인욱과 관련된 언급이 허위사실임이 밝혀지자 비슷한 시기에 삭제된 정황이 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48456|#]][[https://archive.md/sU8GN|@]] |
|
309 | ||
310 | == 연예인 관련 == |
|
311 | === PLAVE 비하 === |
|
312 | ==== 이세돌 팬튜브의 날조 ==== |
|
313 | ||<tablewidth=8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팬튜브플레이브비하4.jpg|width=100%]]||<|2><width=50%><nopad>[[파일:팬튜브플레이브비하3.jpg|width=100%]]|| |
|
314 | ||<bgcolor=#000><nopad>[[파일:팬튜브플레이브비하5.jpg|width=100%]]|| |
|
315 | [[이세계아이돌]]의 [[팬튜브]]가 [[PLAVE]]에 대한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비방을 일삼다가 커뮤니티 개념글에 박제된 사건이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837180|#1]] 해당 게시글에는 2024년 8월 22일 연합뉴스 유튜브에 올라온 '[[PLAVE]] 멜론 톱100 1위... 올해 보이그룹 최초'[[https://youtu.be/Xky4gyRXXYM|#]] 영상에 특정 유저가 남긴 댓글이 담겨있었다. 댓글 게시자는 ''''플레이브의 탄생 속 비밀에는 이세돌이 숨어있다. [[VLAST]]의 대표는 그 과정에서 이세돌의 팬덤과 문화를 많이 참고 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2024년 4월 22일 간담회에서 [[VLAST]]의 대표가 이세돌에 대한 질문을 받아 대답한 적은 있지만, 해당 발언은 아예 나온 적이 없는 날조였음이 밝혀졌다.[[https://sports.khan.co.kr/article/202404221548003|#2]][*아카이브23 [[https://archive.md/mUZi1|@1]] [[https://archive.md/Eu3Bt|@2]]] |
|
316 | ||
317 | 추가로 댓글 게시자가 2024년 8월 20일에 발매된 [[PLAVE]]의 '[[Pump Up The Volume!]]' M/V에 악플을 남긴 것도 적발됐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15026|#]][[https://archive.md/kfC4a|@]] 게시자는 [[PLAVE]]의 곡에 대해 ''''조회수 프리징에 걸린 게 아니라 돈주고 노출시켰다가 기간 끝나서 이제 조회수가 안 오르는 거임. 그니깐 900만 조회수가 뻥튀기 조회수라는 거임''''이라며 근거 없는 댓글을 수차례 도배했다. 자신을 저지하는 사람에게 ''''이세돌 4집 안 나와서 빡치니깐 가만히 있어라잉''''이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
|
318 | ||
319 | 자신을 당당하게 팬이라 밝히는 것에서 [[분탕질]]을 일삼는 인원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문제는 당사자의 채널에 업로드 되어있던 영상 목록이었다. 이 채널에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업로드 된 3개의 영상이 있었고 모두 [[이세계아이돌]]의 업적을 칭송하는 내용이었다. 특히 맨 처음 올린 '[[이세계아이돌]] 업적 모음 50가지'[[https://youtu.be/nnPDwnkSbHA|#]][[https://archive.md/fwmJa|@]]는 무려 19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500개 이상의 댓글에 [[이파리]]들의 반응이 담겨있으며, 게시자는 잘못된 정보를 댓글로 정정하며 팬들과 활발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전형적인 [[팬튜브]]의 모습을 보였다. |
|
320 | ||
321 | ==== 왁타버스 공식 채널 댓글 ==== |
|
322 | ||<tablewidth=700><width=48.56%><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플레이브비하1.png|width=100%]]||<nopad>[[파일:플레이브비하2.jpg|width=100%]]|| |
|
323 | 2025년 3월 25일, [[버츄얼 스나 미니 갤러리]]에 '유튜브 이파리의 가면을 검거했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32710|#]][[https://archive.md/4jiDr|@]] 게시자는 이세돌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실물 관련 논란 및 사이버 불링 피해]]를 다룬 유튜버 영상을 보던 도중 이세돌을 옹호하는 댓글을 발견했고, 댓글 게시자가 스트리머 [[한동숙]]의 프로필 사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수상히 여겨 과거 왁타버스와 관련된 영상 댓글을 확인해 보았다. |
|
324 | ||
325 | 그 결과 해당 사용자가 각각 1년 전, 3년 전에 왁타버스 채널의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https://youtu.be/rDFUl2mHIW4|M/V]]), [[RE : WIND]]([[https://youtu.be/fgSXAKsq-Vo|M/V]])에 응원 댓글을 남겼고, [[고세구]]의 유튜브에도 15개 이상의 댓글을 게시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해당 사용자는 그외에도 왁타버스 채널에 업로드된 오리지널 곡 중 하나인 [[Ready Action]]([[https://youtu.be/Lv3A_gPPmNE|M/V]])에 유난히 많은 댓글을 남겼는데, 이것이 바로 '''PLAVE를 향한 다수의 비방 댓글이었다.''' 그 댓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326 | ||
327 | {{{#!folding [ 댓글 내역 펼치기 · 접기 ] |
|
328 | ||<tablebordercolor=#00bca1,#00bca1> [[PLAVE|플레이브]] 팬들 자꾸 1등라이팅하는데 1등이 왜 더현대 매출 따잇 당했냐 [[https://youtu.be/Lv3A_gPPmNE&lc=UgxqJUqN7_2-JzYdU-R4AaABAg|#]] || |
|
329 | || [[PLAVE|플레이브]] 팬들 그렇게 안 봤는데 질이 나쁘네 ㄷㄷ [[https://youtu.be/Lv3A_gPPmNE&lc=Ugwy4LzSxf_ZPi0ylDh4AaABAg|#]] || |
|
330 | || 막말로 [[우왁굳]] 없었으면 [[PLAVE|플레이브]]도 없었다 ㅇㅇ 선구자에 대한 존중을 해줬으면 좋겠네요 [[https://youtu.be/Lv3A_gPPmNE&lc=UgxR29R3EyNUzq6ihIV4AaABAg|#]] || |
|
331 | || 라이브 방송 시청자 8.6만 넘고오셈 ㅇㅈ해줄테니까 앜 [[https://youtu.be/Lv3A_gPPmNE&lc=UgxqJUqN7_2-JzYdU-R4AaABAg.A8twDEXrAjUA8twLeD4X6q|#]] ||}}} |
|
332 | 해당 영상에 [[PLAVE]] 관련 댓글이 달리게 된 이유는 따로 있는데, 이 영상은 2024년 9월경 촉발된 왁타버스 M/V의 [[PLAVE]] 표절 사건의 원본이었기 때문이다. 2024년 8월 22일 데뷔한 버츄얼 그룹 '에이팟츠'가 PLAVE의 M/V를 표절하여 사과문을 게시하는 일이 있었고, 이 M/V를 만든 인력 중 다수가 왁타버스 인력이었다. 논란이 된 제작진의 작업물을 살펴보던 과정에서 [[PLAVE]]의 아바타 및 M/V 연출과 거의 흡사한 'Ready Action'이 발견되었고 추가적인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해당 사건은 [[더쿠]]에서 11만 이상의 조회수와 800개의 댓글이 달리며 뜨거운 화제가 됐다.[[https://theqoo.net/square/3421263592|#]][[https://archive.md/7W5Q5|@]] |
|
333 | ||
334 | 또한 'Ready Action'의 댓글창에는 최초 인원을 제외하고도 왁타버스 채널에 댓글을 각각 25개, 100개 이상 남긴 기존 시청자들도 [[PLAVE]]를 비하한 흔적이 남아있어 논란이 됐다. 2025년 4월 2일 기준으로도 영상에는 해당 댓글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다. |
|
335 | ||
336 | === QWER 비하 === |
|
337 | 2024년 5월, [[에펨코리아]] 포텐터짐 게시판에서 한 [[이파리]]가 [[QWER]]을 비하하다 적발된 것이 2025년에 재조명된 사건이다. 당시 한 유저가 [[QWER]]과 관련된 게시글에 '그래서 얘네 [[PLAVE]]는 넘었냐'고 물어보자, '크라욘'이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QWER]]은 [[PLAVE]]가 아니라 이세돌부터 넘어야 한다'는 댓글을 단 것으로 싸움이 시작됐다. 해당 유저는 이세돌의 멜론 차트 성적을 내세우며 [[QWER]]의 인기와 업적, 팬덤 규모를 비하했다. |
|
338 |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이파리_qwer비하.png|width=100%]]|| |
|
339 | || [[https://www.fmkorea.com/6995020892/6995166892#comment_6995166892|#]] [[https://archive.md/uu75B|@]] || |
|
340 | ||
341 | 이 유저의 작성글에는 이세돌이 [[SOOP]]과 전혀 관련이 없던 2022년, 아프리카TV 게시판에 [[프리아]]와 이세돌을 비교하며 작성했던 게시글[[https://www.fmkorea.com/5210012816|#1]]이 존재했다. 더불어 2023년 이세돌 이적이 확정된 후의 글,[[https://www.fmkorea.com/6537926283|#2]]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 출처의 굿즈 정보[[https://www.fmkorea.com/6529793982|#3]] 등이 있었지만, 인터넷방송 게시판에서 차단[[https://www.fmkorea.com/6348184330|#4]]을 당한 적이 있다는 이유로 [[분탕종자]]로 간주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https://www.fmkorea.com/search.php?mid=ib&category=&search_keyword=2835822641&search_target=member_srl|인터넷방송 게시판 작성글 기록]][[https://www.fmkorea.com/search.php?mid=afreecatv&category=&search_keyword=2835822641&search_target=member_srl|아프리카TV 게시판 작성글 기록]][*아카이브24 [[https://archive.md/SA3F5|@1]] [[https://archive.md/MKw0O|@2]] [[https://archive.md/o2hl7|@3]] [[https://archive.md/fDfie|@4]] [[https://archive.md/E0G3Y|인터넷방송 게시판 작성글 기록]] [[https://archive.md/Hh1Pb|아프리카TV 게시판 작성글 기록]]] |
|
342 | ||
343 | 하지만 2025년 1월 또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s-3.4|아카네 리제 커버곡 테러 의혹]]으로 인해 이파리와 에펨코리아 치지직 갤러리 유저들 양측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을 때, 모습을 감췄던 해당 사용자가 다시 등장해 [[이파리]]의 변호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심지어 해당 내용은 당시에 [[숲 스트리밍 미니 갤러리]]에 있던 갤러리와 완전히 동일한 내용이었고,[[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25902|#1]] 이에 대해 추궁하자 본인이 쓴 글이 맞다며 조롱하는 모습까지 보였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4231|#2]][*아카이브25 [[https://archive.md/esPTH|@1]] [[https://archive.md/RTXAe|@2]]] |
|
344 | ||
345 | 추가로 [[숲 스트리밍 미니 갤러리]]에서 원글을 작성한 사람의 식별코드를 검색해본 결과, 악성팬덤 주축의 [[숲 방송 미니 갤러리]] 월별 활동 랭킹에 들어갈 정도의 열성적인 활동자인 것으로 드러났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26098|#1]] 또한, 과거 [[에펨코리아]]에서 [[아이리 칸나]]의 음원 성적을 비하하며 멸칭을 사용한 사실도 확인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730012|#2]][*아카이브26 [[https://archive.md/T024I|@1]] [[https://archive.md/Oi0c4|@2]]] |
|
346 | ||
347 | 그러나 [[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치지직 게시판 밴 이력이 있다는 이유 때문에 팬이 아닌 비호감작이라 주장하며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https://www.fmkorea.com/7896020739/7896525344#comment_7896525344|#]][[https://archive.md/W5vaB|@]] |
|
348 | ||
349 | == 왁타버스 내부 관련 == |
|
350 | === 타 멤버 팬덤의 집중적인 고세구 비하 === |
|
351 | 다른 멤버의 팬이지만 [[고세구]]를 싫어하는 악성 이파리[* [[악개]]와 반대로 그룹 중 한 명만을 싫어한다는 뜻으로 리버스 악성 개인팬을 줄여 리악개라고 불린다.]들은 지속적으로 고세구의 방송 진행, 노래 실력 등을 강도 높게 비하해왔다. [[고세구]]의 경우 다른 멤버와 다르게 인터넷 방송에 관심이 없던 일반인 출신이었는데, [[우왁굳]]의 방송을 잘 보지 않고 밈 등을 모른다는 이유로 [[침팬치#s-5|짭팬치]](짭치)라고 주장했다.[*링크8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820920|#1]][[https://www.fmkorea.com/6516588342|#2]][[https://gall.dcinside.com/mini/soopinternet/1269842|#3]]][*아카이브27 [[https://archive.is/1WgPi|@1]] [[https://archive.md/wip/SYSYY|@2]] [[https://archive.md/XgXvP|@3]]] |
|
352 | ||
353 | [[이세계아이돌/콘텐츠/만우절 이벤트 #s-3|2023년 만우절 합방 F6 콘텐츠]] 당시 고세구의 캐릭터가 등장하자 해당 콘텐츠가 오글거림을 느끼게 하는 콘텐츠임을 감안해도 타 멤버에 비해 과한 비하를 하는 채팅이 다수 보였다. 이후 멤버들의 채팅 매니저끼리 모여 선 넘는 채팅을 모아 공유 밴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해당 리스트에는 이세돌 장기 구독자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www.fmkorea.com/6606637418|#]][[https://archive.is/hve8g|@]] |
|
354 | ||
355 |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의 매니저가 [[이세계아이돌 스트리머 미니 갤러리]]에서 관리자로 활동하며, 2023년 8월 3집 기념 파자마 합방 당시 고세구가 준비해온 질문들이 마음에 들지 않아 고세구를 비방하는 글을 개념글로 등록하고 다른 멤버를 비방하는 글은 개념글에서 해제하는 등의 편파적인 운영 행태를 보인 정황이 발견되기도 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isegyeidolwak2/24167|#1]] 특히 '릴파 언니의 미친 성량 갖기' vs '아이네 언니의 미친 감정 갖기' 질문에서 아이네가 몰표를 받고 릴파가 서운하다는 반응을 보이자 고세구가 내부 갈등을 유발한다며 더 큰 비난을 하였다[[https://archive.md/dlibc|@2]].[*아카이브28 [[https://archive.md/WU1Zi|@1]] [[https://archive.md/dlibc|@2]]] |
|
356 | ||
357 | 이세계아이돌(왁타버스) 갤러리의 관리자가 [[스텔라이브]] 소속의 [[텐코 시부키]]를 [[#s-3.3|비하하며 쓴 게시물]]에도 고세구의 실제 행적 및 평가들이 반영되어 있어 시부키와 고세구 둘 다 조리돌림 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4452|#]][[https://archive.is/P3yiM|@]] |
|
358 | ||
359 | 또한 우왁굳의 2024년 5월 8일 이세계아이돌 VS 버튜버 올스타 - 몸으로 말해요 콘텐츠에서 고세구가 게임을 잘하지 못한다고 채팅창에 '고갈통' 등의 비하 단어를 사용하였다.[[https://gall.dcinside.com/m/leesedol/3309247|#]][[https://archive.md/wip/umr7d|@]] [[https://youtu.be/5hKRScxxTSY&t=4624|해당 장면 유튜브 링크]][* 고세구가 몸짓을 잘 알아보지 못하자 '짭치', '고갈통'이라는 단어가 채팅에 올라온다.] |
|
360 | ||
361 | 해당 사건들로 [[디시인사이드]]의 이세돌 관련 갤러리는 더 파편화되었다. 특히 이세돌은 멤버별 개인 갤러리가 활성화된 경우가 거의 없는데, 관리되지 않는 갤러리들의 내부 갈등에 지친 [[고세구]]의 팬들은 '세구 미니 갤러리'로 이주하였다. |
|
362 | ||
363 | 현재까지도 [[고세구]]에 대한 비방 및 조롱을 관리하지 않는 갤러리는 여럿 있으며 개인 방송의 시청자수를 조롱하고 개인 매력이 없다고 비난하는 경우도 자주 보인다.[[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36476|#1]][[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69457|#2]][*아카이브29 [[https://archive.is/3B9rN|@1]] [[https://archive.is/TVthc|@2]]] |
|
364 | ||
365 | 같은 갤러리 내에서는 2025년 3월 20일에 발매된 이세돌의 신곡 [[SYZYGY(이세계아이돌)|SYZYGY]]에서는, 고세구의 가사 파트가 'Beep, beep'이라는 의성어 위주의 적은 파트를 배분 받자 '고삣삐', '비빕구'라며 조롱하였다. 아예 대놓고 노래 방송을 하면 '퉁퉁이', '소음공해'라며 욕하는 모습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815332|고세구 가사파트]] [[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85324|고삣삐]] [[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84998|비빕구]][[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28513|소음공해(삭제됨)]] [*아카이브30 [[https://archive.is/4l5n8|고세구 가사파트]] [[https://archive.is/XQVbO|고삣삐]] [[https://archive.is/Oun0O|비빕구]] [[https://archive.is/zWENi|소음공해]]] |
|
366 | ||
367 | === 팬덤 간 릴파 및 비챤 비하 === |
|
368 | Soop방송 갤러리에서는 [[릴파]]를 인지도에 비해 실제 방송능력이 떨어진다며 "아 릴짜로?"[* 과거 철구가 시청자 수에 비해 대화능력이 떨어져서 억지텐션 화법밖에 못쓴다고 '아 길짜로?'라며 밈이 만들어진 적이 있었다.] 라고 비하하거나, 아예 "릴짜로"라고 부르며 방송 능력 및 대화능력을 까내렸다. 또한 시청자 수가 떨어지자 유동이 끌릴 콘텐츠를 한다며 비하하기도 했다. [*링크9 [[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4022936|#1]] [[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92848|#2]] [[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170275|#3]] [[https://archive.md/uwuxc|@4]]][*아카이브31 [[https://archive.md/k38h8|@1]] [[https://archive.md/Abybg|@2]] [[https://archive.md/RcCTO|@3]] [[https://archive.md/uwuxc|@4]]] |
|
369 | ||
370 | [[비챤]]의 노래 실력에 대해 다른 방송에 나오면 시청자 수가 떨어진다고 비하하기도 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77060|#]][[https://archive.md/53giB|@]] |
|
371 | === 우왁굳 방송 중 채팅 관련 내부 갈등 === |
|
372 | 2024년 8월 30일 [[우왁굳]]의 방송에서 [[작곡캠프]]의 마지막 날을 기념하며 해당 콘텐츠를 되돌아보는 방송을 진행했고 참여곡 중 하나인 [[프리터 댄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러던 중, 우왁굳이 프리터 댄스의 예상치 못한 조회수를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채팅창에서는 프리터댄스가 이세돌과 [[LOCKDOWN]]을 '따잇'[* 시청자 수나 조회수 등을 땄다, 제쳤다는 뜻이다.]했다는 반응이 나오기 시작했다.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08829|#]][[https://archive.md/mOT0i|@]] |
|
373 | ||
374 | 이러한 채팅에 불편함을 느낀 이파리들은 채팅으로 이를 제지해달라고 요청하였다. 하지만, 해당 요청들은 소위 '경찰짓'[*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채팅을 방송인에게 고자질 하는 행위로, 대부분의 방송에서 제재 사유이다.]으로 간주되어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08979|#1]] 도리어 제재되기 시작했다.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09384|#2]][*아카이브32 [[https://archive.md/60Jza|@1]] [[https://archive.md/uyJW8|@2]]] |
|
375 | ||
376 | 이를 계기로 이세돌 멤버들의 채팅은 철저하게 관리된다며 우왁굳의 채팅관리를 꼬집기 시작했다.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09054|#1]]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09302|#2]][*아카이브33 [[https://archive.md/vab5Q|@1]] [[https://archive.md/plqTF|@2]]] |
|
377 | ||
378 | 여론이 형성된 직후 한 이파리가 [[왁물원]]을 보며 잡담 중이던 우왁굳에게 [[제목 낚시]]를 통해 '따잇'을 적은 채팅들의 캡쳐본과 이러한 채팅들은 제재되지 않고 오히려 경찰들만 제재되는 사실을 비판하는 내용을 적은 글을 읽도록 유도하였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34830481?change_second=20721|#]] 게시글을 본 우왁굳은 '따잇'을 쓰지 말라고 언급했고, 억지로 그러한 채팅만 골라 읽는 것인지 본인은 이러한 채팅이 있었는지도 잘 몰랐다는 이야기를 덧붙였다. 채팅은 직후 경찰짓에 대한 비판과 '따잇'이 많긴 했다고 하는 등 여러 반응을 보였다. |
|
379 | ||
380 | 반응이 격화되던 중 과거에 이세계아이돌의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이 [[왁타버스 고정 멤버|고멤]]의 [[TRUE LOVER]]를 제쳤다는 글이 왁물원에 작성되었던 것이 재조명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upbangsong/3776121|글]] [[https://gall.dcinside.com/mini/supbangsong/3776174|댓글]] 이를 보고 왁물원의 해당 글에선 불편하다는 반응의 댓글이 전혀 없다며, 이세돌이 고멤을 따잇하는 것은 괜찮지만 그 반대는 불편한 것이냐고 앞선 따잇 채팅창에 불편해 하던 이파리들의 [[내로남불]] 태도를 비판하였다.[*아카이브34 [[https://archive.md/hrlF6|글]] [[https://archive.md/X3ZkU|댓글]]] |
|
381 | ||
382 | 게다가 왁타버스 내에서 [[왁타버스 뮤직]]와 같이 줄세우기 콘텐츠 및 언급은 흔한 일이고 어찌됐든 같은 왁타버스 소속끼리 이러한 채팅을 경직된 태도로 대하기보다는 방송적으로 수용할 수 있지 않냐는 반응이 나오기 시작했다. |
|
383 | ||
384 | 결국 우왁굳이 방송 종료 직전에 한번 더 채팅창에 불편한 점이 있더라도 경찰짓은 자제해달라고 부탁하였고, 따잇 대신 '스게'[* '스고이'와 같이 일본어로 '굉장해'라는 뜻이다.][* 다만 이 역시 비꼬는 것 같다며 불편하다는 반응도 있었다.]로 순화하여 사용하자며 서로 불편할 수 있는 일을 줄이자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다음 날 31일 이세돌 6인 전 멤버의 공식 휴가 후 첫 방송이 이루어졌는데, 휴가 전 우왁굳이 현실 만남을 가져 보는 것을 권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휴가 중 2년만에 2번째 6인의 현실만남이 이루어진 사실이 밝혀지자 이를 환호하며 이파리와 [[침팬치]]간의 갈등은 일단락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leesedol/3312441|#]][[https://archive.md/4jXo4|@]] |
|
385 | ||
386 | == 커뮤니티 관련 == |
|
387 | === 이세계아이돌 스트리머 미니 갤러리 이용자 공개 사건 === |
|
388 |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돌스갤빨간.png|width=100%]]|| |
|
389 | || [[https://gall.dcinside.com/ttvvirtual/10841|당시 익명이 해제됐던 상황의 스크린샷]][[https://archive.md/XG4WA|@]] || |
|
390 | 2022년 2월에 개설된 익명 갤러리 [[이세계아이돌 스트리머 미니 갤러리]](이하 돌스갤)의 익명이, 모종의 이유[* 확장 프로그램으로 해킹했다, 갤러리 관리자가 일부러 해제했다, 디시인사이드 버그였다 등등 여러 가지 설 등이 있으며 정확한 건 밝혀지지 않았다.]로 해제되어 이용자들의 실체가 밝혀졌다.[* 현재 존재하는 돌스갤은 갤러리 폭파 후 다시 만들어진 이름만 같은 갤러리다.] |
|
391 | ||
392 | 돌스갤은 익명이라는 특징을 앞세워 남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방송에 불만을 가진 인원들이 모여들어 이세돌에 관한 비방을 일삼던 갤러리였다. 돌스갤에서 일으킨 사건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2023년 6월, 너무 뜸한 커버곡과 적은 방송시간, 휴방 공지 미흡 등의 이유로 [[아이네]] 유튜브에 싫어요와 댓글 테러를 가했던 사건이 있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1555408|#]][[https://archive.md/WZDiS|@]] |
|
393 | ||
394 | 이렇듯 돌스갤이 이세돌의 생방송과 유튜브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하자 [[디시인사이드]]의 [[이파리]]들은 [[스트리머 갤러리]]와 다른 팬덤 쪽에서 분탕을 온 것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익명 해제 사건이 터진 것과 더불어 당시 갤러리의 이용자 목록을 '해킹했다'고 주장하는 고정닉에 의하면 ''''돌스갤의 이용자 대부분은 다른 이세돌 갤러리에서 온 [[이파리]]들이었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3875416|#]][[https://archive.md/Q6CkY|@]] 심지어 팬 갤러리의 성향이 짙은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 이용자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충격을 안겨줬다. |
|
395 | ||
396 | 게다가 그중에는 [[징버거]]의 이봤 볶음밥 클립 팀장의 위치에서 수천만 원을 후원하던 팬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에서 해당 유저를 저격하자 처음에는 '친구가 했다'고 해명했지만, 이후 해명 과정에서 거짓말을 하여 팀장 자리에서 사퇴하게 된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839629|#]][[https://archive.md/wl6rD|@]] |
|
397 | ||
398 | 2023년 11월에는 [[디시인사이드]]에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던 [[갤로그]]가 자동으로 공개되는 버그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이세돌 관련 갤러리 사용자들의 갤러리 내역에서 돌스갤이 대거 검거되며 소란이 일었다. 그중에는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전 관리자가 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
|
399 | ||
400 | * [[https://archive.md/LvhNR|이세계아이돌 마갤 전 관리자의 돌스갤 기록 아카이브(제목은 어그로) @]] |
|
401 | * [[https://gall.dcinside.com/mini/isegyeidolwak2/22820|#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고정닉의 돌스갤 기록]][[https://archive.md/HUkqH|@]] |
|
402 | * [[https://gall.dcinside.com/mini/gamlamm/478|감람 마이너 갤러리 고정닉의 돌스갤 기록]][[https://archive.md/4fqxf|@]] |
|
403 | ||
404 | === 이세돌 싸이퍼 관련 힙합 팬덤과의 마찰 === |
|
40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돌 싸이퍼, 문단=6)] |
|
406 | [[이세돌 싸이퍼]] 영상이 게시된 이후 힙합 팬덤에서는 버츄얼 유튜버에 대한 거부감과 더불어 계속해서 힙합을 거론하는 가사와 표절 의혹이 있는 가사로 인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의견이 발생했다. 이에 대한 대처 과정에서 양측 팬덤 상호 간의 비하가 있었다. [*링크10 [[https://gall.dcinside.com/hiphop_new1/1253142|해당 싸이퍼에 대한 힙합 갤러리 측 반응]]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419623|이파리의 힙합 팬덤에 대한 반응 1]]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419651|반응2]]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419928|반응3]]][*아카이브35 [[https://archive.md/wkYit|싸이퍼에 대한 힙합갤 반응]] [[https://archive.md/MG3V7|이파리 반응1]] [[https://archive.md/zxUbZ|반응2]] [[https://archive.md/lXxzS|반응3]]] |
|
407 | ||
408 | 이와 관련해 래퍼 [[쿤디판다]]와 [[JJK]]가 [[https://youtu.be/DA5H8Xir1hQ|하말해에서 다루기도]] 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싸이퍼의 작사와 믹싱을 담당한 [[빕어]]가 [[https://youtu.be/RnYotW4no0k|유튜브로 입장 표명]]을 하였다. |
|
409 | ||
410 | ===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 |
|
411 | ==== 단톡방 내부고발 ==== |
|
412 | ||<tablewidth=700><width=50.18%><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이세돌단톡방1.png|width=100%]]||<nopad>[[파일:이세돌단톡방2.png|width=100%]]|| |
|
413 | [* [[https://archive.md/l5dCD|사진자료출처]]] |
|
414 | [[2023년]] [[4월 25일]],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에서 해당 갤러리의 매니저를 포함한 다수의 완장들과 갤러리 멤버들로 구성된 [[스트리머 갤러리]] [[개념글]] 조작용 [[텔레그램]] 그룹이 있음을 폭로하였다.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61643|#]][[https://archive.md/nW6YX|@]] |
|
415 | ||
416 | {{{#!folding [ 텔레그램 그룹 채팅 내역 펼치기 · 접기 ] |
|
417 | ||<tablebordercolor=#00bca1,#00bca1> 하루에 '''[[개념글]] 조작''' 100개씩 하고 있다. || |
|
418 | || [[랄로]] 드립을 념주작해라. || |
|
419 | || '''여론조작'''이 될까 싶었는데 주딱이 스갤 마스터가 되어버렸다. || |
|
420 | || 스갤그냥 이세돌 중계에 먹히고있으니 밀어야겠다. || |
|
421 | || 도배가 필요하다, 7시까지만 도배하겠다. || |
|
422 | || 스갤에 [[침팬치|왁천지]]가 너무 많아졌다. || |
|
423 | || 내가 한거로 만들어 나랑 헛헛 [[따효니|근개비]]로. || |
|
424 | || '''이세돌 떡 안구르게하려고''' 점심에 틈날때마다 [[원신]] 까는 떡밥 굴렸더니 정신병자에게 물렸다. || |
|
425 | || '''가면'''쓰는용으로 써야되는데 이미 확실하게 악질 [[한동숙]]팬인걸로 각인되있어서 나를 이세돌 왁 보는놈으로 의심을 안한다. || |
|
426 | || '''도배기'''생긴게 존나 편하다 손도배 안해도된다. || |
|
427 | || 이제 [[CAPTCHA|코드]] 뚫는거만 만들면된다 그러면 몇명 더해서 화력으로 밀수 있을듯. || |
|
428 | || 나 안오면 카톡으로 존나불러주셈. || |
|
429 | || 완장톡방엔 아카이브가 있다. ||}}} |
|
430 | 여기서 이 폭로글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
|
431 | * 그룹의 주체는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 관리자이며 다른 완장들과 고닉이 구성원으로 상주하고 있었다. |
|
432 | * [[스트리머 갤러리]]의 [[개념글]]을 조작할 수 있었다. |
|
433 | * 디시인사이드 도배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실제로 악질 이파리 팬덤과 적대적인 일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는 과거 글을 그대로 복사하여 도배하는 일명 '''역류기''' 도배를 당하였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12461|#]][[https://archive.md/AerpF|@]]] |
|
434 | * 도배 행위를 지시하는 지휘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
|
435 | * [[CAPTCHA|도배 방지 코드]]를 파훼하는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 중에 있었다. |
|
436 | * 타 스트리머 팬덤인 척하며 자신들의 정체를 숨겼다. |
|
437 | ||
438 | ==== 요리대회 이세돌 멤버 성희롱 사건 ==== |
|
439 |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와 통합되기 전, 2023년 2월 [[이세돌(왁엔터테인먼트) 마이너 갤러리]]에서 '[[이세계아이돌]] 멤버'를 주제로 주최한 요리 대회 이벤트에서 두 참여자가 혐오스럽고 성적인 메시지를 담은 요리를 제출하는 사건이 있었다.[[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93552|#1]][[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42703|#2]][*아카이브36 [[https://archive.is/8PBSm|@1]] [[https://archive.md/Y2UsW|@2]]] |
|
440 | ||
441 | 갤러리 유저들은 해당 게시물들에 대해 경악하면서도 웃어넘기는 반응을 보였고, 본 게시글이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로 이동되고[*아카이브37 [[https://archive.md/ZT2fQ|@]]] 원색적인 비난을 받자 작성자들은 게시물과 계정을 삭제했다.[[https://archive.md/MCyN7|@]] 그 후, 요리 대회 역시 중단되었다. |
|
442 | ||
443 | ===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 군인 이파리 신상털이 사건 === |
|
444 | 2023년 9월,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가 [[판타지 갤러리]]에 상주하던 군인 신분 [[이파리]]의 신상을 털어 징계를 먹인 사건이다. [[판타지 갤러리]]에서 '밀리오'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유저는 6년 이상 [[우왁굳]]을 보다가 이세돌까지 보기 시작한 애청자였다.[[https://gall.dcinside.com/fantasy_new2/4026983|#]][[https://archive.md/nWzEc|@]] 그는 군복무를 하며 2022년 9월에 발생한 [[주르르]]의 [[주르르/논란 및 사건 사고 #s-2.1|군 복무 비하 논란]]을 소재로 농담 섞인 글을 작성했는데,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가 이를 빌미 삼아 [[왁물원]]과 [[디시인사이드]]에 남아있는 그의 흔적을 뒤져 복무 부대를 포함한 [[개인정보 유포|신상을 털었다.]][* 현재 신상털이 관련 글은 모두 삭제되어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
445 | ||
446 | 이들은 그 정보를 기반으로 군대에 민원을 넣었고, 결국 해당 유저는 두 달 뒤인 2023년 11월 군 징계를 받았다. 조사 과정에서 인터넷 커뮤니티에 작성한 상급자에 대한 욕설도 죄목으로 인정되어 징계 사유에 포함됐다.[[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2627622|#1]] 이후 해당 유저는 [[왁물원]]을 탈퇴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43578|사건 정리글과 비판]][*아카이브38 [[https://archive.md/v0T8u|@1]] [[https://archive.md/7r0cV|사건 정리글과 비판]]] |
|
447 | ||
448 | === 왁물원 및 이파리들의 보컬로이드 팬덤 비하 === |
|
449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하쿠0089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 |
|
450 | 이세계아이돌이 포함된 방송인 크루 [[왁타버스]] 소속 고정 멤버였던 [[티파니0421/하쿠0089 시절|하쿠0089]](이하 하쿠)와 관련한 논란이 발생한 이후 팬덤 간에 분쟁이 발생했다. |
|
451 | ||
452 | 해당 왁타버스 소속 고정 멤버(이하 고멤)은 이세계아이돌 소속 멤버는 아니었지만, 해당 고멤이 왁타버스 팬덤 안에서 전반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기에[* 왁타버스 내의 [[고멤 클래식/인기투표|인기투표 결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왁타버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이세계아이돌의 팬덤 이파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었다. |
|
453 | ||
454 | 해당 논란으로 하쿠에 대한 외부 여론이 달아오르자, 하쿠는 논란이 된 부분에 대해 트위터와 왁물원을 통해 해명하며 사과문을 게재했다. 그러나 하쿠 본인이 사과문을 올리고 관련 영상을 내린 이후에도 왁타버스 팬덤 측은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비난을 이어갔다.[[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3049412|#1]][* '이왜인'이라는 댓글을 통해 인기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댓글창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비난이 이루어지고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fmkorea.com/6216040951|#2]][*아카이브39 [[https://archive.md/XlRXs|@1]] [[https://archive.md/sKqCN|@2]]] |
|
455 | ||
456 | 문제는, 이파리 또한 왁타버스 팬덤 측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을 비난하는 데 참가했다는 점이다.[[https://gall.dcinside.com/leesedol/2327760|#]][[https://archive.md/cRjke|@]] 해당 글의 본문과 댓글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강도 높은 비난을 확인할 수 있다. |
|
457 | ||
458 | === 에펨코리아 인터넷방송 게시판 === |
|
459 | ==== 한동숙 팬덤 멸칭 ==== |
|
460 | 2022년 10월 22일, 에펨코리아 인터넷방송 게시판에서 [[한동숙]]의 팬덤을 멸칭으로 표현한 이용자의 과거 게시글이 주목받으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https://www.fmkorea.com/5133873821|#]][[https://archive.md/ir6OI|@]] |
|
461 | ||
462 | 문제의 게시물은 [[고세구]]의 팬서비스 방송 시청 후기였다. 작성자는 [[타요(인터넷 방송인)|타요]]를 통해 [[이세계아이돌]] 과 [[우왁굳]]을 알게 됐다며, 자신을 신규 시청자인 것처럼 표현했다. |
|
463 | ||
464 | 그러나 작성자는 과거 [[우왁굳]]의 GTA 방송을 통해 아프리카TV를 처음 시청했다고 밝혔다. 또한, [[우왁굳]], [[이세계아이돌]], [[우왁굳/콘텐츠/고정 멤버|고멤]]의 합동 방송 콘텐츠를 언급하는 등 관련 스트리머의 방송을 이전부터 시청해 온 팬임을 드러내는 게시글을 남겼다. 이는 작성자가 타요를 통해 유입된 신규 시청자가 아니라, 기존부터 이세계아이돌 관련 방송을 시청해 온 팬임을 시사했다. |
|
465 | ||
466 | 2024년 3월 4일, 해당 멸칭은 다른 이용자에 의해 다시 사용되었다. 댓글 삭제를 요청하며 비판하자, 오히려 당사자가 불쾌감을 드러내 논란이 일었다. [[https://www.fmkorea.com/6806525300|#]][[https://archive.md/gfIUW|@]] |
|
467 | ||
468 | 작성자는 외부 커뮤니티 등에서 "좌표가 찍혀 자신이 일방적으로 공격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팬덤 내에서는 작성자를 옹호하는 반응을 보여 논란은 더욱 확산됐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해당 팬덤 일부 구성원이 외부 비판에 과도하게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
469 | ||
470 | ==== 룩삼 영상 도네이션 콘텐츠 관련 갈등 ==== |
|
471 |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룩삼도네펨코과열글.png|width=100%]]|| |
|
472 | || [[https://www.fmkorea.com/6562069192|당시 과열된 펨코 인기글]][[https://archive.md/5BTFF|@]] || |
|
473 | 2023년 12월부터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트위치 코리아 철수]] 시기에 [[에펨코리아 치지직 게시판|치지직 갤러리]](당시 인터넷방송 갤러리, 이하 인방갤)에서 이파리와 다른 시청자 사이에 [[룩삼]]의 이세계아이돌 [[영상 도네이션]](이하 영도) 조리돌림 여부를 두고 발생한 대규모 커뮤니티 갈등 사건이다.[*링크11 [[https://www.fmkorea.com/6562072218|#1]][[https://www.fmkorea.com/6562242721|#2]][[https://www.fmkorea.com/6562068935|#3]]][*아카이브40 [[https://archive.md/Nhcla|@1]] [[https://archive.md/rOvYA|@2]] [[https://archive.md/FFQbX|@3]]] |
|
474 | ||
475 | 당시 트위치 코리아가 철수를 결정하고, 대다수 국내 스트리머들이 [[SOOP|아프리카TV]] 혹은 [[치지직]]으로의 이적을 발표하던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당시 아프리카 TV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이상호가 '흠'등의 부정적인 반응의 채팅에 대하여 밴을 하였고, 이 영상이 인터넷 방송 게시판으로 넘어오자 비추천을 받으며 분위기가 과열되었는데, 이 사태에서 관리자가 영도 조리돌림문화는 트위치의 고유문화라는 식의 발언을 하며 갈등이 폭발하게 되었다. [[https://www.fmkorea.com/6561360884|#]] |
|
476 | ||
477 | 러브딜리버리2 사태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이었기 때문에[[https://www.fmkorea.com/6561532145|#]] 민감한 시기였던 우왁굳과 이세돌 시청자들은 [[트위치]]는 영도를 이용해 벌이는 조리돌림이 심하며 특히 룩삼이 [[고멤 가요제]]를 보며 시청자들과 조리돌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
478 | ||
479 | 이 주장을 제기한 유저들 중에는 이세돌과 우왁굳 관련 글을 자주 작성하는 사람들(이하 이파리로 서술)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이파리와 인방갤 유저들 간의 큰 갈등으로 번지게 되었다. 이에 인방갤 유저들은 해당 발언은 사실이 아니라며 그 증거로 당시 영상 다시보기를 증거로 제시했지만 해당 영상에서는 룩삼이 이세돌을 조리돌림하는 정황이 확인되지 않았다.[[https://www.fmkorea.com/6562000815|#]][[https://archive.md/Ce75w|@]][[https://youtu.be/lv0ILqPQBR8&t=1862s|다시보기]] |
|
480 | ||
481 | 이러한 주장과는 달리 실제로 [[룩삼]]은 과거 [[이세계아이돌]]의 영상 도네이션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있으며, 이로 인해 룩삼의 [[팬튜브]]에 고세구의 커버곡 중 하나인 '[[https://youtu.be/DPEtmqvaKqY|팬서비스]]'를 패러디한 '[[https://youtu.be/dd9tbeIQ98A|룩서비스]]'가 업로드되기도 했다. 2022년 7월 27일에는 [[성대결절]]로 장기휴방을 하고 있었던 [[고세구]]가 복귀하여 '장기휴방중일 때 트국가(팬서비스) 다른 스트리머 분들 반응 올려주셔서 보면서 같이 웃었다'고 소감을 전한 적도 있다.[[https://www.fmkorea.com/4860944020|#1]] [[고세구]]가 '트국가'라는 별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이로부터 한 달 후인 2022년 8월 27일부터다.[[https://www.fmkorea.com/4964683603|#2]][*아카이브41 [[https://archive.md/QWpt3|@1]] [[https://archive.md/oa52C|@2]]] |
|
482 | ||
483 | 이렇듯 조리돌림하는 모습을 찾을 수는 없었지만, 여전히 룩삼이 채팅창과 도네이션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성토가 이어졌다. 그러자 이전엔 그랬을지 몰라도 지금은 관리를 하려 노력하고 있다는 글이 올라왔고 [[https://www.fmkorea.com/6562027678|#1]] 본인들이 피해입은 것을 빌미로 현재에는 트집 잡을 이유가 없는 과거의 일까지 가져와 과도한 혐오를 부추기는 게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https://www.fmkorea.com/6561945864|댓글참고]] 이에 분노한 룩삼 팬들은 과거 우왁굳과 시청자들이 [[키즈나 아이]]를 보며 '쟤한테 구독자 밀리면 [[한강]] 가야겠다'라고 조리돌림한 사례까지 꺼내 오게 되었다.[[https://www.fmkorea.com/6582069085|#2]] [[https://www.fmkorea.com/6582021973|#3]][*아카이브42 [[https://archive.md/zteqE|@1]][[https://archive.md/TerkY|@2]] [[https://archive.md/Xo5nK|@3]]] |
|
484 | ||
485 | 1월 5일 우왁굳의 아프리카TV 이적 확정 발표와 함께 이파리들은 [[에펨코리아 숲(SOOP) 게시판|SOOP 게시판]](당시 아프리카TV 게시판)으로 이주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86758?sid=101|#1]] 당시에 스트리머 [[강인경]]은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였고, 방송 채팅에서 아프리카TV 이적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나온 일이 있었다.[[https://www.fmkorea.com/6583598498|#2]], [[https://www.fmkorea.com/6583812632|#3]] 그런데, 본인들과 아무 관련도 없고 맥락도 맞지 않는 이 사건을 근거로 자신들도 왕따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이적한 지 불과 하루 만에 SOOP 게시판에서 인터넷 방송 게시판에 대한 뒷담화를 하였다. [[https://www.fmkorea.com/6583658702|#4]][*아카이브43 [[https://archive.md/OQbZN|@1]] [[https://archive.md/ZBVMF|@2]] [[https://archive.md/PVfB4|@3]] [[https://archive.md/zX2YI|@4]]] |
|
486 | ||
487 | 결국 본인들이 당했다고 주장하는 사이버 불링 행위를 다른 인터넷 방송인들에게 똑같이 하고 있다는 등의 글이 올라왔고 [[https://www.fmkorea.com/6581835926|#1]] 이로 인해 인방갤이 현재의 치지직 갤러리로 명칭이 변경되는 쪽으로 방향이 굳어지게 된다. [[https://www.fmkorea.com/6561944307|#1]][[https://www.fmkorea.com/6562056223|#2]][*아카이브44 [[https://archive.md/oNfg2|@1]] [[https://archive.md/X7fQZ|@2]]] 이후 치지직 갤러리로 명칭이 변경된 뒤로는 이세돌 관련 글이 크게 감소했으며, 많은 유저들이 관련 주제와의 연관성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
|
488 | ||
489 | 예를 들면 [[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s-2|고세구가 치지직과 SOOP의 버츄얼 스트리머들을 대상으로 시상식을 열었을 때]] 일부 유저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표출[* 다만 이 부분은 애초에 SOOP 주최 콘텐츠에 참여하는 것 자체에 부정적인 기조가 많았었음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요컨대 주최자가 고세구가 아니었어도 반응이 마냥 좋진 않았을 거라는 것.]했다.[[https://www.fmkorea.com/7845023620|#1]] 이세돌의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s-2.1|실물 관련 논란 및 사이버 불링 피해]] 사건에서도 연관성을 차단하고자 관련 글을 올리지 말자는 인기글만 작성되었다.[[https://www.fmkorea.com/8169414130|#2]][*아카이브45 [[https://archive.md/v570i|@1]] [[https://archive.md/j9CTb|@2]]] |
|
490 | ||
491 | ===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자작 이펙터 도용 사건 === |
|
492 | ||<tablewidth=700><width=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일렉트릭기타도용.jpg|width=100%]]||<bgcolor=#fff><nopad>[[파일:일렉트릭기타도용1.png|width=100%]]|| |
|
493 | ||
494 | 2024년 3월 20일, 'bseasod(오이소)'라는 이용자가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이용자에게 의뢰하여 제작된 커스텀 이펙터를 자신이 직접 만들었다고 속여 게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이펙터에는 [[이세계아이돌]] 멤버 [[징버거]]의 일러스트가 포함되었으며, 이 글은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와 [[왁물원]]에 게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dcbest/216589|#]][[https://archive.md/bsFZl|@]] |
|
495 | ||
496 | 이 이용자는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의 이벤트 당첨을 통해 해당 커스텀 이펙터 제작을 의뢰했다[*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내에서 썰을 푸는 이벤트를 개최하였고, 문제의 유저가 여기에 당첨된 것이다.]. 그는 제작 과정을 담은 글을 [[이세계아이돌 마이너 갤러리]]에 올렸고, 이는 [[실시간 베스트]] 게시물로 선정되었다. 또한 [[왁물원]]의 '징이봤' 게시판에도 관련 글을 게시하여 징버거 본인이 직접 확인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자신이 "한 달 동안 고생해서 만들었다"고 허위 사실을 주장했다. 더불어 이펙터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원본 제작자가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에 게시했던 개인 작업물 사진[* 문제의 글 최상단에 첨부된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했다. |
|
497 | ||
498 | 자신의 작업물이 타인의 창작물로 둔갑하고 개인 사진까지 도용당한 사실을 알게 된 원본 제작자가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건은 공론화되었다. 이후 'bseasod' 이용자가 원본 제작자에게 제작 과정 사진을 요구했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처음부터 타인의 작업물을 도용할 의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그는 제작 오류로 발생한 미완성 부품과 최종 완성품을 모두 수령했다. |
|
499 | ||
500 | 이 사건으로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내에서 [[버츄얼 유튜버]]와 [[이세계아이돌]] 팬덤에 대한 인식이 크게 악화되었고, [[실시간 베스트]]에서도 비판 여론이 형성되었다. 결국 'bseasod' 이용자는 해당 갤러리에서 영구적으로 차단되었다. 이후 [[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운영진은 과거 유사 분쟁에서 발생했던 역류기(도배 프로그램 공격)를 예방하고자, [[이세계아이돌]]을 포함한 모든 [[버츄얼 유튜버]] 관련 언급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
|
501 | ||
502 | 이 사건은 [[2025년]] [[3월]]경 [[싱글벙글 지구촌 마이너 갤러리]]를 통해 외부 커뮤니티로 확산되며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 [[https://m.dcinside.com/board/singlebungle1472/1718562|#]][[https://archive.is/KougR|@]] |
|
503 | ||
504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사건 사고, version=75, uuid=5d92216b-5e21-435d-8c67-2b7800752866, paragraph=4.2)] |
|
505 | ||
506 | === 2024 버츄얼 페스티벌 시상식 관련 커뮤니티 갈등 === |
|
50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 문단=2)] |
|
508 | 2024년 12월 22일, [[고세구]]는 [[SOOP]]과 [[치지직]]의 버츄얼 스트리머들을 대상으로 한 연말 시상식 및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콘텐츠 시작 전, 플랫폼 통합 콘텐츠와 시상식이라는 포멧에 거부감이 컸던 시청자들은 해당 콘텐츠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했다.[[https://www.fmkorea.com/7845000518|#]][[https://archive.md/MwXgM|@]] 시청자들의 부정적 인식 배경에서 [[백곰파]]의 관련 공지가 커뮤니티에 올라오자 참가자들이 방송을 송출하지 못한다는 추측과 함께 거센 비난이 있었다. [[https://www.fmkorea.com/7845138304|당시 백곰파 공지]][[https://www.fmkorea.com/7845150635|#]][[https://archive.md/JgOkP|@]][[https://archive.md/yQkw9|@]][* 당시 [[우왁굳]]은 감당 가능하냐며 우려를 표했으나, [[고세구]]이기에 재밌게 할 수 있을 거라는 의견을 냈었다.[[https://gall.dcinside.com/mini/board/view/?id=soopvirtualstreamer&no=465730|#]][[https://archive.md/EdSRl|@]] 해당 글에서 시상식이라는 컨텐츠가 갈등 요소로 번질 수 있으나, [[고세구]]가 이전에 치지직 버튜버도 참가했던 흑백 버튜버 컨텐츠를 큰 논란 없이 성공시킨 적이 있기에 의심치 않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대해 단독 송출이 아니고 타 플랫폼의 개인 송출 또한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이들 사이에 갈등이 생겨났으며, 이 과정에서 백곰파 또한 거센 비난을 받았다.[[https://www.fmkorea.com/7845193915|#1]][[https://www.fmkorea.com/7846947317|#2]][[https://archive.md/eUKff|@]] 이후 후보자 선정 및 행사 진행 과정에서 운영 논란, 저작권 침해, 고세구의 권위 논란이 연달아 발생하여 치지직 시청자들을 중심으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펨코리아]] SOOP 갤러리, 숲 스트리밍 갤러리, 이세계아이돌 갤러리 등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치지직 시청자들과의 갈등이 이어졌다.[[https://www.fmkorea.com/7847766059|#1]] [[https://www.fmkorea.com/7848344213|#2]]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29132|#3]]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38340|#4]]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25958|#5]]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26043|#6]]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37455|#7]]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3861497|#8(삭제됨)]]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38086|#9]][*아카이브23 [[https://archive.is/KgAjw|@1]] [[https://archive.is/IVcet|@2]] [[https://archive.is/wQsX8|@3]] [[https://archive.is/0Erqg|@4]] [[https://archive.is/5RKtJ|@5]] [[https://archive.is/lOoIu|@6]] [[https://archive.is/r4mME|@7]] [[https://archive.is/6BGp4|@8]] [[https://archive.is/cREue|@9]]] |
|
509 | ||
510 |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고세구는 SOOP 시상식 후보 스트리머였기 때문에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방송 화면에 SOOP 워터마크가 삽입될 수밖에 없었으며, 현장에 참여한 타 플랫폼 방송인들은 고세구의 방송을 중계한 것이 아니라 각자의 시점으로 워터마크 없이 방송을 송출했기 때문에 단독 송출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반해, 주최 측이 SOOP 이외의 송출을 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스트리머들이 개별적으로 자기 시점에서 방송을 켰다고 하더라도 단독 송출이라는 주장 또한 제기되었다. |
|
511 | ||
512 | 더불어 행사에 사용된 맵 자체에 SOOP 로고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참석자들의 인터뷰 및 활동 플랫폼 소개 장면에서 타 플랫폼 스트리머들의 방송에서도 입장과 동시에 강제로 노출되었다.[[https://youtu.be/Z1BKC7WZtOQ?list=PLu184R7cq3uuGeJcfgYwM1EfhDlF8NB5y&t=8260|2:17:40]] |
|
513 | ||
514 | 한편, 이 사건에서 자신이 피해를 받았다며 호소하는 [[이파리]]들도 있었다.[*링크13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34923|#1]][[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29738|#2]][[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18281|#3]]][*아카이브47 [[https://archive.is/cZ8hR|@1]] [[https://archive.is/sWMwC|@2]] [[https://archive.is/TCLWF|@3]]] |
|
515 | ||
516 | 이후, 일부 스트리머에게 사전 연락이 부재하였다는 것에 대한 사실이 언급될 경우, 디시 갤러리에서는 해당 내용을 차단하고 에펨코리아에서는 비추를 주는 등 갈등이 심화되는 모습이 보였다.[*링크14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34324|#1]][[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32715|#2]][[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433086|#3]][[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124|#4]]][*아카이브48 [[https://archive.is/UmHS0|@1]] [[https://archive.is/zWGw7|@2]] [[https://archive.is/fwFbe|@3]] [[https://archive.is/vtjpZ|@4]]] |
|
517 | ||
518 | == 세류초등학교 스쿨존 불법 주차 및 번호판 위반 사건 == |
|
519 | ||<tablewidth=700><width=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이타샤불법주차.webp|width=100%]]||<nopad>[[파일:이타샤불법주차2.webp|width=100%]]|| |
|
520 | 2023년 3월 12일, 경기 수원 [[세류초등학교]] 정문 앞에서 [[릴파]]의 사진이 부착된 [[이타샤]] 차량을 포함하여 차량 두 대가 번호판을 가린 채 불법 주차되어 있었고, 이를 목격한 인근 주민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하여 단속된 사건이다. |
|
521 | ||
522 | [[현대 아반떼 N|해당 차량]] 소유자들은[* 이타샤 제작을 했다는 사실을 [[왁물원]]에 업로드한 기록이 있는 이파리이다.[[https://youtu.be/jQ93c1Sc6Bw|#]]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9344320|#]] [[https://archive.md/3H7SX|@]]] 학교 정문 앞에 번호판을 가린 채 불법 주차하였는데, 주차된 곳은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이자 횡단보도여서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이었다. 또한, 주차한 뒤 번호판을 가렸을 리 없으므로 자동차관리법 제10조 5항[* 누구든지 등록번호판을 가리거나 알아보기 곤란하게 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러한 자동차를 운행하여서도 아니 된다.]을 위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예외적으로 [[https://www.scourt.go.kr/supreme/news/NewsViewAction2.work?seqnum=3372&gubun=4&searchOption=&searchWord=|2009도2800]] 판례처럼 번호판을 가려도 10조 5항을 위반한 것으로 보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그 목적이 범죄 단속 회피 등의 목적이 아닌, 호텔 투숙객의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가렸다는 것이었기 때문에 대법원에서 파기환송한 것으로, 이 사건처럼 불법 주차까지 한 경우와는 무관하다.] |
|
523 | ||
524 | 이 사건은 신고자가 직접 개드립넷에 게시했으며, 이후 에펨코리아 포텐글에도 올라갔다.[*링크15 [[https://www.dogdrip.net/469188504|#1]] [[https://www.dogdrip.net/dogdrip/469193773|#2]] [[https://www.fmkorea.com/5575642008|#3]]][*아카이브49 [[https://archive.md/oUtSu|@1]] [[https://archive.md/Jzj4R|@2]] [[https://archive.md/3IyWp|@3]]] |
|
525 | ||
526 | == [[러브 딜리버리 2/실존 인물 무허가 RPF 논란|실존 인물 무허가 RPF 논란으로 인한 온파이어 게임즈 해체]] == |
|
52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브 딜리버리 2/실존 인물 무허가 RPF 논란)] |
|
528 | 왁물원 인기글에서 먼저 [[러브 딜리버리 2]]의 주인공과 [[릴파]]의 방송 시작 배경, 머리핀, 거주지가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왁물원을 비롯한 여러 이세계아이돌 커뮤니티에서 이파리들은 "[[릴파]]를 바탕으로 유사 [[RPF]]를 제작했다"며 온파이어 게임즈를 강하게 비난하였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4178507|#1]][[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4178559|#2]] |
|
529 | ||
530 | 이 논란으로 [[러브 딜리버리 2]]는 [[STOVE]] 플랫폼에서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이미 게임을 구매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환불 절차가 진행되었다.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는 후속작을 발표하지 못한 채 사업을 종료하였다. |
|
531 | ||
532 | 당시 한 이파리는 [[풍월량]] 공식 팬카페에 게시글을 올려 "해당 게임의 문제가 수정되더라도 플레이하지 말 것"을 타 스트리머에게 강력히 요구하기도 하였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55010|풍월량 팬카페 캡처]] 에펨코리아에서도 왁물원의 주장이 재차 제기되며 논란이 가중되었다. [[https://www.fmkorea.com/6541248087|#3]][*아카이브50 [[https://archive.md/rOTgg|@1]] [[https://archive.md/FGdtD|@2]] [[https://archive.md/ocMAn|@풍캎]] [[https://archive.md/wip/DgoUN|@3]]] |
|
533 | ||
534 |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릴파와 어떠한 관련도 없다"며 작업에 참여한 보조 작가를 통해 이를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고 공식 입장문을 반복해 발표하였고, 이후 당사자의 동의까지 받고 개발했다는 내용을 밝혔다. 하지만, 이미 확신에 찬 이파리들의 비난은 지속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lovedelivery/220268|온파이어 게임즈 입장문]][[https://archive.is/qXzRL|@]] [[https://gall.dcinside.com/m/lovedelivery/221619|두번째 입장문]] |
|
535 | ||
536 |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러브딜리버리2비하.png|width=100%]]|| |
|
537 | > '''제목: [[러브 딜리버리 2|러브머시꺵이2]]말고 다른미연시추천받아용~!!''' |
|
538 | > 개[[씨발|씨이발]]럼들 진짜ㅋㅋㅋㅋ |
|
539 | 이 과정에서 이세계아이돌의 매니저 콘셉트로 활동하며 이파리로 알려진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은 자신의 팬카페에 "개씨이발럼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온파이어 게임즈를 향한 비난에 동참하면서 해당 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 [[https://www.fmkorea.com/6541102595|#]][[https://archive.md/zWo8T|@]][[http://archive.md/DikOP|@2]] |
|
540 | ||
541 | 팬들의 움직임도 더욱 거세졌다. 게임 자체가 다시는 세상에 나올 수 없도록 나올 때마다 배급을 터트려야 한다고 주장하거나[[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2792771|#]][[https://archive.md/uvjSv|@]] 판매 중지가 풀릴 때마다 신고를 해야 한다며[[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2792850|#1]]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2792584|#2]][*아카이브51 [[https://archive.md/XOeIq|@1]] [[https://archive.md/KToTP|@2]]] 과격한 자세를 보였다. |
|
542 | ||
543 |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해당 논란을 일체 부인한 뒤 사과문을 게시하였다. 그러나 패러블·왁물원 및 기타 커뮤니티 이파리들은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추측성 주장만 확산되며 '릴파를 소재로 제작한 게임'이라는 단정적 결론이 도출되었다. 논란이 지속되자 결국 게임 판매 중단과 회사 해체라는 극단적 결과를 맞이하였다. [[https://gall.dcinside.com/lovedelivery/232803|간담회 총정리]][[https://archive.md/5fFoW|@]] |
|
544 | ||
545 | 한편 릴파 소속사인 패러블은 사건 당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관련 제보를 받겠다"는 입장만 밝히며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였다. [[https://www.fmkorea.com/6541525778|#]] [[https://archive.md/n5r5t|@]] 그러나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현재까지 패러블 측은 구체적인 법적 조치 결과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 이는 당초 강경 대응을 예고했던 태도와 대비된다. |
|
546 | ||
547 | == 아카네 리제 Drowning 커버 신고 테러 의혹 == |
|
548 | 이파리가 뚜렷한 근거 없이 커버곡 신고 테러 가해자로 지목된 사건이다. [[2025년]] [[1월 4일]]경 [[스텔라이브]] 소속 [[아카네 리제]]의 [[https://youtu.be/CyOAmEihVHs|WOODZ - Drowning]] 커버곡이 유튜브 검색으로 찾아지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https://www.fmkorea.com/7888750823|#]][[https://archive.md/yxwxs|@]] 처음에는 이에 대해 유저들은 [[#s-3.1.5|아이리 칸나 커버곡 테러]]의 전례처럼 이파리가 커버곡 영상에 신고 테러를 하여 알고리즘에 뜨지 않게 했다고 주장했다.[[https://www.fmkorea.com/7888701889|#1]][[https://www.fmkorea.com/7888787436|#2]][*아카이브52 [[https://archive.md/cG0b0|@1]] [[https://archive.md/etA82|@2]]] |
|
549 | ||
550 | 이러한 주장이 나올 수 있던 배경에는 상술했듯 [[2023년]] [[5월]] 중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s-3.1.7|비슷한 사건]]이 벌어졌다는 사실이 있었다. 해당 테러의 범인으로 왁물원에서 팬으로 인정받은 악성 이파리가 지목되었기에 이번 사건에서도 역시 이파리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주장이 주류가 되었다. |
|
551 | ||
552 | 이파리 측에서는 신고 테러를 했다는 증거도 없고, 신고 테러가 유튜브 알고리즘에 영향을 끼치는지도 명확히 알 수 없어 이파리와는 무관한 사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045254|#1]] 이에 대한 근거로 [[비챤]]이 커버했던 [[https://youtu.be/5CVhGuKSUUc|완전감각 Dreamer]]나 왁타버스 오리지널 곡 [[https://youtu.be/cApabFGK8VA|우주미아]]도 동일한 증상으로 유튜브 검색으로는 찾아지지 않는다는 유사 사례를 제시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1043909|#2]][*아카이브53 [[https://archive.md/MsdDW|@1]] [[https://archive.md/5wQUM|@2]]] |
|
553 | ||
554 | 이후 악성 이파리가 활동하는 디시인사이드 Soop방송 갤러리에선 해당 사태에 대해 조롱하는 모습을 보였다.[[https://gall.dcinside.com/mini/soopbangsong/66222|#]][[https://archive.md/qCbPA|@]] |
|
555 | == 팬덤 내부 자정작용 관련 == |
|
55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문단=5)] |
|
557 | [[2025년]] [[3월 22일]],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을 계기로 이파리 팬덤의 자정작용 부족을 비판하는 글들이 [[왁물원]]에 올라왔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33869|#1]][[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37446|#2]] 글의 내용은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s-5|노노제팬]]의 책임 회피 및 [[#s-2.1|칸나 관련 사이버 불링]]을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방관하는 등 팬덤의 자정작용 부족을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댓글로 "짐승새끼"라며 욕이 달릴 정도로 비판이 전혀 수용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해당 게시글 또한 관리자가 삭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러한 [[왁물원]] 내 반응에 "이제와서 자정작용은 더이상 불가능하다", "악플달던 놈들이 멀쩡히 활동 중이다" 등 팬덤의 자정작용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이 형성되었다.[*링크16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90189|#3]]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63286|#4]]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4382|#5]]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04244|#6]]][*아카이브54 [[https://archive.md/drP4N|@1]] [[https://archive.md/MpAEc|@2]] [[https://archive.is/QGIqW|@3]] [[https://archive.is/Pa45a|@4]] [[https://archive.md/vkKoT|@5]] [[https://archive.md/Q4omJ|@6]]] |
|
558 | ||
559 | 한편, 일부 이파리는 해당 논란 대부분이 [[스텔라이브]] 팬덤이나 소수 분탕의 날조 및 조작이라고 주장하며 팬덤 싸움으로 몰아가는 모습을 보였다.[*링크17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3582|#1]][[https://www.fmkorea.com/8164163001|#2]][[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2983174|#3]]][*아카이브55 [[https://archive.md/y9m1G|@1]] [[https://archive.md/4Pnxf|@2]] [[https://archive.md/iIQvo|@3]]] |
|
560 | ||
561 | 2025년 4월 11일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에 대해 우왁굳 본인이 2차 입장문을 게시하여[[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810973|#1]] 해당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했고, 우왁굳 본인의 잘못을 감싸지 말아 달라는 부탁을 하였으나 일부 팬들은 "치지직 시청자들이 열등감을 가지고 억지 논란을 만들었다", "벌레 새끼들이 트집 잡을 게 없으니 오히려 좋다" 등 격하게 반응하며 저작권 문제의 원인을 외부로 책임전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링크18 [[https://gall.dcinside.com/m/singlebungle1472/1746343|#2]][[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186206|#3]][[https://archive.md/EVkAM|펨코 반응(@)]]][* 에펨코리아에 올라온 원 게시글은 현재 삭제됨.][*아카이브56 [[https://archive.md/2Vip5|@1]] [[https://archive.md/I7LQt|@2]] [[https://archive.md/qj4q4|@3]]] |
|
562 | ||
563 | ##@[include(틀:공지/26)] |